[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서울시가 지난 12일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의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지정을 해제하면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값이 급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23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21일 기준) 자료 분석 결과 토허제 해제 이후(12~20일) 강남3구 아파트 평균 거래 가격은 24억5139만원으로, 해제 전(1~11일) 평균 22억6969만원보다 8.0%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강남3구를 제외한 서울 22개 구의 평균 거래 가격은 9억1859만원으로 2.6% 하락했다. 서울 전체 평균 거래 가격도 1.6% 하락해 11억1828만원을 기록했다.
특히 강남3구 아파트값 상승세는 해제 전후로 더욱 두드러졌다. 1~11일 강남3구와 나머지 22개 구의 평균 가격 차이는 13억2648만원이었으나, 12~20일에는 15억3280만원으로 15.6% 확대됐다.
실제 거래에서도 상승세가 확인된다. 송파구 대표 단지인 '잠실 트리지움' 84㎡는 지난 6일 24억8000만원에서 17일 26억원으로 1억2000만원 상승했다. '리센츠’는 8일 27억원에서 14일 27억5000만원으로 올랐다.
강남구에서도 래미안대치팰리스가 지난해 12월 35억5000만원에 거래된 이후, 이달 13일에는 40억원에 계약되며 4억5000만원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강남3구의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지만, 서울 전체 시장으로 확산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과거에도 토허제 지정으로 거래량은 줄었지만, 가격 하락 효과는 미미했다"며 "이번 해제를 시장이 과도하게 해석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취득세, 종부세 부담 등을 고려할 때 강남3구 가격 오름세는 연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서울 아파트 월평균 거래량이 여전히 낮고, 구로·금천 등 일부 지역은 하락세인 만큼 시장 전반의 상승세로 보기에는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일부 공인중개사들은 "지방은 이미 가격이 크게 하락한 상황에서 강남 상승세가 양극화를 심화할 수 있으며, 단기 급등 후 급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 강남3구 집값 상승폭 확대···토지거래허가 해제 영향
- 서울 아파트 거래 4건 중 1건 15억원↑···'똘똘한 한채' 선호
- 2024년 아파트 키워드···'로또청약·대단지·강남4구'
- 서울 아파트, 1㎡당 평균 분양가 2천만원 눈앞
- 수도권 공급 10년만에 최저치···입주 물량 반토막
- [전문가 기고] 토지거래허가구역 벌집을 쑤시다
- 대출 재개되고 금리 낮아지자 2월 가계대출 '껑충'···주담대만 5조↑
- "토지거래허가 풀린 강남3구 '갭투자' 의심거래 2배↑"
- [초점] 서울시 현장 점검, 실효성 의문···투기세력 잡을 수 있나
- [일문일답] "강남3구·용산구 외 지역, 풍선효과시 토허제 추가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