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서종열 기자] KT는 유럽 통신장비업체 노키아와 핀란드 에스푸에서 6G 후보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7㎓ 대역에서 초고집적 안테나를 활용한 기지국 기술을 검증했다고 16일 밝혔다.
KT는 이번 기술 검증을 통해 초고집적 안테나를 활용하면 7㎓ 대역에서도 3.5㎓ 대역의 5G와 유사한 수준의 커버리지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이번에 검증한 기술결과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2025에서 전시할 계획이다.
통상 초고집적 안테나 기술은 5G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 소자(전파를 방사하는 부분)를 사용한다. 전파 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 전송하는 기술인 '빔 포밍'과 많은 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은 "고객 체감 품질 향상을 위한 선제적 6G 요소 기술 확보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KT, 지난해 영업이익 8059억원···인력 조정 일회성 비용 반영
- 사티야 나델라 MS CEO, 내달 방한···김영섭 KT 대표 만나나
- "전 직원이 AI 에이전트 만든다"···KT, MS 코파일럿으로 업무 혁신
- KT, AICT 맞춤형 구매 프로세스 정립···"거래 투명성 강화"
- 통신3사, 'MWC 2025' 총출동···통신·AI 혁신 성과 뽐낸다
- SKT, MWC 2025서 AI 자율주행·금융 보안 솔루션 소개
- KT-에릭슨, '저대역 주파수용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연구 협력
- KT "6G 핵심은 비지상 통신·양자·AI 네트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