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주택산업연구원)
(자료=주택산업연구원)

[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경기침체 우려와 탄핵정국 여파가 맞물리며 이번 달 전국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가 2년 만에 최저치를 보였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주택 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68.4로, 지난해 12월보다 20.2포인트(p) 하락했다고 14일 밝혔다.

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내고 입주할 수 있을지를 예상하는 지표다.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산출하며 지수가 100 이하면 입주 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고, 100 이상이면 긍정적 전망이 많다는 의미다.

1월 지수는 2023년 1월(59.4) 이후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경기 침체 우려, 비상계엄에 따른 탄핵정국 여파가 덮치며 시장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주산연은 분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전월(90.6)보다 18.6p 떨어진 72.0으로 집계됐다. 인천(64.2)의 하락 폭이 22.9p로 가장 컸으며, 경기(63.8)는 21.9p, 서울(88.0)은 12.0p 각각 떨어졌다.

5대 광역시도 △울산 31.7p(92.8→61.1) △대구 27.6p(95.6→68.0) △대전 27.1p(88.2→61.1) △광주 21.2p(80.0→58.8) △부산 15.5p(85.0→69.5) 모두 크게 하락했다.

도 지역은 전남(37.5)이 54.1p 급락하며 입주 전망이 가장 악화했고 이어 △경북 40.0p(100.0→60.0) △경남 29.5p(100→70.5) △세종 21.5p(100→78.5) 등 순이었다. 전국 17개 지역 중에서 지수가 상승한 곳은 충북(75.0→81.8), 충남(73.3→80.0), 제주(75.0→78.9)가 유일하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입주율은 69.7%로 전월보다 0.7%p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 지역(67.2%)이 전월 대비 3.6%p 올랐다. 수도권(79.9%)은 2.4%p, 5대 광역시(67.8%)는 1.8%p 하락했다. 서울 입주율은 81.4%로 전월보다 1.1%p 떨어졌다.

지난 달 아파트 미입주 원인으로는 △잔금대출 미확보(34.0%) △기존 주택 매각 지연(32.1%) △세입자 미확보(17.0%) △분양권 매도 지연(9.4%) 순으로 나타났다.

주산연 관계자는 "강력한 대출 규제와 경기침체 우려, 정치적 불안정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매수심리가 얼어붙고 상당한 거래량 감소가 예상된다"며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기까지 거래절벽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