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이번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대비 –0.17%로 떨어지는 등 하락세가 지속됐다.
7일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이번주 전국 아파트 매매는 -0.17%, 전세는 -0.17% 로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0.15% 하락을 기록했다. 노원구(-0.43%), 동대문구(-0.34%), 도봉구(-0.29%), 강북구(-0.24%) 등의 하락폭이 컸고, 상승한 지역없이 대부분의 지역이 하락했다.
경기와 인천은 전주 대비 각각 -0.25%, -0.31%를 기록하며 하락했다.양주(-0.93%), 수원 영통구(-0.78%), 김포(-0.54%), 의정부(-0.45%), 고양 덕양구(-0.36%) 등 대부분의 지역이 하락했다. 인천은 남동구(-0.90%), 연수구(-0.51%), 중구(-0.14%), 부평구(-0.12%) 등 모두 하락했다.
지역별 매맷값 변동률을 보면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12%)는 하락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 매매가격은 -0.06% 하락을 기록했고, 지역별로는 강원(0.01%), 전북(0.01%), 경북(-0.01%), 충남(-0.05%), 전남(-0.09%), 경남(-0.10%), 세종(-0.10%), 충북(-0.13%) 이 각각 등락을 보였다.
서울의 전세가격은 -0.18% 하락을 보였다. 성북구(-0.54%), 송파구(-0.45%), 중구(-0.38%), 광진구(-0.28%) 등의 대부분의 지역이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격은 -0.26%, 인천은 -0.37% 하락을 기록했다.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15%)에서 울산(-0.06%), 광주(-0.08%), 대전(-0.16%), 부산(-0.18%), 대구(-0.20%) 모두 하락을 보였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0.00%)의 전세가격은 전북(0.10%), 경북(0.04%), 경남(-0.01%), 충남(-0.01%), 강원(-0.04%), 충북(-0.05%), 세종(-0.05%), 전남(-0.08%) 이 각각 등락을 보였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지난 20.4보다 낮아진 19.9를 기록하면서 침체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인천(8.6)을 제외한 5개 광역시에서는 대전(13.7)이 가장 높다. 부산 10.9, 광주 9.4, 울산 8.9, 대구 7.3로 100 미만의 '매도자 많음' 상황이다.
- 거래절벽 심화에···전국 아파트값 하락세 지속
- '금리인상' 공포에···전국 아파트값 -0.22% '뚝'
- 부동산 시장 침체 지속···전국 아파트값 하락폭 확대
- 용산만 남았다···서울 아파트값 0.04% 하락
- 경기 침체 여파···서울 아파트값 5주째 하락세
- 서울 역전세난 본격화···2년 전 시세보다 싼 전세 매물 속출
- 금리공포에 부동산 '빙하기' 지속···이번 주 전국 집값 –0.16%
- '추풍낙엽' 아파트값···서울 10년4개월만에 최대 하락
- '뚝뚝' 떨어지는 집값···인천 0.42%↓ 최대 하락폭
- 잇단 금리 인상 충격···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 6억 무너졌다
-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 0.3%↓···올 들어 낙폭 가장 컸다
- SH 고덕강일지구 분양원가 3.3㎡당 1170만∼1244만원
- 전국 아파트값 하락폭 확대···수도권 -0.37%
- 아파트값 올 들어 가장 큰 폭 하락···전국 -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