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SK하이닉스가 기술 사무직(일반직) 임금은 평균 8%, 생산직은 약 9% 인상에 합의했다. 특히 대졸 신입사원 초임을 5000만원대로 파격 인상하기로 했다.
최근 대기업 연봉·성과급 논란에 대응해 사측이 전향적으로 임금 인상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9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한국노총 산하 이천·청주 사업장 전임직(생산직)노조, 민주노총 산하 기술 사무직 노조는 7∼8일 임금 협상을 마무리했다. SK하이닉스 노조는 오는 11일 대의원회의에서 임금 인상 잠정 합의안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기술 사무직 임금 인상률은 8.07%, 생산직 임금 인상률은 약 9%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신입사원 초임을 기존 4000만원대에서 5040만원으로 인상했다. 이는 삼성전자 대졸 신입사원 초봉인 4800만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아울러 전 직원에게 임금협상 타결 특별 격려금으로 250만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본급의 1000%가 상한인 초과이익분배금(PS)에 대해서는 PS 지급 한도를 초과하는 영업이익이 발생할 경우 이듬해 1월에 논의하기로 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본급이 낮은 반면 연초 높은 성과급을 지급하는 보수 구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과급은 반도체 업황에 따라 변동이 큰 데다 특히 올해 초 성과급 갈등이 크게 불거지면서 재계 전반에 논란이 확산하는 계기가 됐다.
SK하이닉스는 예년과 비교해 큰 폭으로 임금을 올리면서 구성원들의 사기를 진작하고 경쟁사 이직 동요 등을 불식시키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SK하이닉스 신입사원 연봉은 기본급에 성과급까지 더하면 최대 9000만원 이상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SK하이닉스 관계자 "반도체 산업은 인재 경쟁력이 곧 기업 경쟁력이며 국가 경제와도 직결된다고 생각한다"며 "올해 임금 협상에서 구성원 자부심과 인재확보·유지를 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에 잠정 합의했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직원 기본급을 4.5%를 인상했다. 여기에 올해 처음 공개한 성과인상률 3.0%를 더해 평균 7.5%의 임금인상률을 확정했다. 삼성전자의 대졸 초임 연봉은 지난해 4450만원에서 올해 4800만원으로 인상됐다.
- 코로나19 여파, 지난해 대기업 직원 1만명 줄었다
- SK하이닉스, 지난해 '경제간접 기여성과' 5조3737억원 달성
-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익 1조3244억···전년比 66%↑
- SK하이닉스, 업계 최고 성능 기업용 SSD 신제품 양산
- SK하이닉스, 업계 최대 용량 LPDDR5 모바일 D램 양산
- [뉴스톡톡] SK하이닉스發 성과급 논란, 사회적 이슈 비화
- SK하이닉스 '성과급 논란' 달래기···"기본급 200% 우리사주 지급"
- 하이닉스 이어 SKT서도···SK그룹 성과급 논란 확산
- '통큰 투자' SK하이닉스, D램 EUV 시대로···M16 공장 준공
- SK하이닉스, 지난해 5조원 벌었다···주당 1170원 배당
- 삼성전자 '더 프레임', 몬드리안·칸딘스키 명작 담는다
- [뉴스톡톡] "백신 먼저 맞나 했더니"···대기업 잇단 소동 '속앓이'
- SK하이닉스, 2Q 매출 10조 돌파···'슈퍼사이클' 이후 3년만
- SK하이닉스, 발달장애인 핸드볼팀 모집···"꿈과 도전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