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대출 규제 속에 탄핵 정국이 지속되면서 매수심리가 축소됨에 따라 서울 아파트값이 4주 연속 보합세를 지속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월 셋째주(2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에 이어 보합(0.00%)을 유지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12월 다섯째주부터 4주째 보합을 지속하고 있다.
구별로 들여다보면 △송파(0.09%) △서초(0.03%) △강남(0.01%) 등 소위 강남권이 상승세를 유지했다. 반면 노원, 중랑, 동대문, 구로는 나란히 0.03% 하락했고, 금천·은평·서대문·강북(-0.02%) 등도 내렸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단지 등 선호단지에서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그 외 단지에서는 대출규제 등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관망세 짙어지는 등 지역 및 단지별로 혼조세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경기(-0.04%→-0.04%), 인천(-0.06%→-0.06%)도 하락세가 지속됐다. 다만 경기에서 광명(-0.15%), 이천·평택(-0.14%) 등이 하락한 반면 수원 장안(0.06%), 과천(0.05%) 등은 상승해 지역별 온도차가 나타났다.
경기와 인천의 하락으로 수도권(-0.03%→-0.03%)도 내림세가 계속됐다. 낙폭은 전주와 동일했다.
지방은 0.07% 내리며 전주(-0.05%)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대구(-0.15%→-0.16%), 대전(-0.02%→-0.08%) 등의 낙폭이 확대되며 5대 광역시가 0.08% 하락했고, 세종(-0.06%→-0.09%)도 매수 수요 위축이 감지되며 낙폭을 키웠다.
전세가도 매매가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전국 전세가가 0.01% 내리며 전주의 하락폭을 유지한 가운데 서울(0.00%)은 전주와 마찬가지로 보합을 기록했다.
수도권이 전주와 마찬가지로 0.01% 내린 가운데 경기(-0.01%→0.00%)는 이번주 보합 전환했고 인천(-0.03%→-0.05%)은 낙폭을 키웠다.
지방(-0.01%)도 전주의 낙폭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울산(0.04%) △부산(0.03%) △광주(0.03%) △충북(0.01%)은 상승하고 △대구(-0.07%) △강원(-0.06%) △대전(-0.06%) △제주(-0.05%) 등은 하락했다. 전남, 경북, 경남은 보합을 보였다.
- 서울 빌라·오피스텔 월세값 '껑충'···전세사기·공급부족 영향
- 서울 아파트값 오름세 41주 만에 멈췄다···매수심리 '꽁꽁'
- 새해 앞두고 부동산 지표 신뢰 '흔들'···누구말 믿어야 하나?
- 올해 1순위 청약 마감된 곳 절반도 안된다···5년 내 최저
- 집값 양극화 커지는데···'똘똘한 한 채' 분위기 계속되나
- 초고가 거래 증가···작년 서울 아파트 거래 절반이 '9억원 초과'
- 지난해 상가 임대료 뚝, 오피스는 상승 "양극화 뚜렷"
- "강남권 상급지 잡아라"···건설사들, 개포주공-잠실우성 '군침'
- 서울 아파트값 5주만에 상승 전환···"전반적 관망세는 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