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서울 내 빌라와 오피스텔 월세가 지속 상승하고 있다. 전세사기 여파에 전세기피현상이 심화했고, 비아파트 공급 마저 줄어드는 추세기 때문이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연립·다세대(빌라)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104.87로 2023년 2월(100.84)부터 22개월 연속 상승했다.
빌라 전셋값도 오르고 있으나 월세 상승세가 더 두드러진다.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96.51로 같은 해 5월 이후 7개월 연속으로 올랐다. 빌라 월세지수가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1년 새 2.3% 오르는 동안 전세지수는 0.6% 상승했다.
오피스텔 월세도 오르고 있다.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101.58로 같은 해 1월(100.9)부터 11개월째 오름세다. 월세는 작년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으로 1.58% 상승했다.
반면, 이 기간 오피스텔 전셋값은 0.2%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비아파트 월세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전세사기 이후 나타난 '전세의 월세화' 현상 심화와 공급 부족 문제를 꼽는다. 지난해 1∼11월 전국 비아파트 입주 물량(준공)은 3만8138가구에 그쳐 전년 같은 기간보다 37.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입주는 36만5770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0% 증가한 것과 비교된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전세를 끼고 빌라를 신규 분양하는 형태가 전세사기 이후 어려워져 전반적으로 비아파트 공급이 부족해졌다"며 "오피스텔도 2021∼2022년에는 전국적으로 연간 준공이 10만실 이상이었으나 5만∼6만실가량으로 떨어졌다"고 짚었다.
비아파트 공급 부족이 이어지면서 올해도 전월세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1월 비아파트 인허가는 3만3583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9.6% 줄었고, 착공은 3만1223가구로 21.6% 감소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랩장은 "예금 금리가 낮아지는 추세라 임대인도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며 월세가 올라가고 있다"며 "수요 차원에서도 전월세가 매매로 전환되기에는 시장 상황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임대로 머무는 수요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월세 상승세는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새해 앞두고 부동산 지표 신뢰 '흔들'···누구말 믿어야 하나?
- 서울 아파트 거래 4개월째 감소···악성 미분양 4년4개월만 최대
- 서울 원룸 평균 월세 76만원···전세 보증금은 2억 넘어
- 부동산 영끌 지속···3분기 가계 여유자금 3.5조원 줄어
- 전셋값 상승 막나···전세 대출 보증 강화로 한도 축소
- 전월세 거래 줄었는데, 빌라·오피스텔 월세는 '훨훨'
- 호갱노노, '아파트BASIC' 구독 서비스 출시
- 작년 전세보증 사고 역대 최대···2년간 피해액 9조원
- 직방 스마트홈, AI 도어록 헤이븐 출시
- 서울 아파트값 4주째 보합···"대출 규제 속 매수심리 '꽁꽁'"
- 지난해 상가 임대료 뚝, 오피스는 상승 "양극화 뚜렷"
- 2월 전국에 1만2676세대 공급···수도권 6251세대
- 서울 오피스빌딩 거래금액 10년만 최고
- 오피스텔 월세 수요 늘자 수익률까지 '쑥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