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나민수 기자] 최근 몇 년간 아파트값 급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서울 아파트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처음으로 전체 거래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 영향이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5만6800여 건 중 9억원 초과 거래가 53.8%를 차지했다. 이는 2006년 실거래가 신고 의무화 이후 처음이다.

2018년만 해도 서울 아파트 거래의 83.4%가 9억원 이하였고, 9억원 초과는 16.6%에 불과했다. 당시 1주택자 양도소득세 비과세 기준이 9억원이었으며, 전체 거래의 60.9%는 6억원 이하에서 이뤄졌다.

하지만 저금리 장기화와 2020년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의 부작용으로 전셋값과 아파트값이 상승하면서, 2020년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31.6%로 증가했다. 2021년에는 44.3%로 늘었고, 2022년에는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거래 절벽이 심화되며 38.8%로 감소했다. 그러나 2023년 매매 시장 회복세로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46.5%로 다시 높아졌고, 지난해는 절반을 넘어섰다.

정부가 9억원 이하 주택 구입을 지원하기 위해 특례보금자리론과 신생아 특례대출을 제공했음에도, 9억원 초과 거래는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는 아파트값 상승과 함께 강남권,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고가 주택이 많은 인기 지역에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 통계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은 2018년 말 8억4502만원에서 지난해 말 9억8333만원으로 상승했고, 평균 매매가는 같은 기간 8억1595만원에서 12억7274만원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6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2018년 60.9%에서 2023년 26%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역대 최저 수준인 20.7%로 감소했다. 반면, 50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는 2018년 34건(0.04%)에서 2023년 160건(0.45%)으로, 지난해는 408건(0.72%)으로 증가했다.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도 2020년까지는 없었으나, 2023년 6건, 지난해는 23건으로 늘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