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삼성전자가 반도체 한파를 견디지 못하고 14년만에 분기별 영업이익이 1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은 14조1200억원이었다. 이같은 실적은 글로벌 금융위기인 2009년 이후 처음이다.
이와 함께 그동안 인위적 감산은 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고수해왔던 삼성전자가 감산에 동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7일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63조원, 영업이익 6000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9%, 영업이익은 95.75% 감소한 수치다. 삼성전자가 영업이익이 1조원대 밑으로 기록한 것은 2009년 1분기(5900억원) 이후로 처음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를 매출 64조2012억원, 영업이익 1조1억원으로 집계해, 이보다 잠정실적이 하회했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인한 '반도체 한파'가 주된 요인이다. 정확한 사업부문 실적이 발표되진 않았으나, 통상 삼성전자 수익의 절반 이상을 담당했던 반도체 사업 부문인 수 조원 대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분이 적자를 낸 것은 14년만에 일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로 지속하는 IT기기 수요 부진도 실적악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로 인해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감산을 하겠다는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날 설명자료를 낸 삼성전자는 "공급성이 확보된 제품 중심으로 의미있는 수준까지 메모리 생산량을 하향 조정 중"이라며 "특정 메모리 제품은 향후 수요 변동에 대응 가능한 물량을 확보했다는 판단 하에, 이미 진행 중인 미래를 위한 라인 운영 최적화에 더해 추가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이같은 입장에 대해 메모리반도체 업계가 환영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업계의 불황은 모바일 부문에서 일부 만회한 것으로 보인다. MX(모바일경험)사업 부문은 올해 1분기에 약 2조~3조원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해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최근 출시한 '갤럭시S23' 시리즈가 출시된 지 47일 만에 국내 판매량은 100만대를 돌파하면서, 인기를 끈 것이 원동력이 작용했다.
글로벌 경기 악화로 인해 TV와 가전 등도 수익이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지난해 삼성전자의 캐시카우가 됐던 디스플레이도 비수기에 진입해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에서 디스플레이는 약 1조원 가량의 영업이익을 낼 것을 전망한다.
다만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감산 입장 선회로 인해, 삼성전자를 비롯한 메모리반도체 업계의 하반기 실적 회복이 빨리 질 것으로 보인다.
-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익 6000억원···전년 대비 95.75%↓(1보)
-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인수···하만보다 시너지 높을까
- 삼성·LG의 엇갈린 OLED 투자 타이밍···'LG의 뼈아픈 실책'
- TSMC-삼성전자, 2나노 대전 다가온다···GAA 기술경쟁
- 추경호 "반도체 초격차 확보 위해 전폭 지원하겠다"
- '역대 최대치' LG에너지솔루션, 1분기 매출 8조7471억원·영업이익 6332억원
- LG전자, 1분기 영업익 1조4974억원···전년 대비 22.6% 감소(1보)
- '반도체 없어서' LG전자, 삼전 영업익 14년만 추월···1Q 1조5천억원
- 삼성전자, 적자 더 심한 낸드 대신 D램 감산 이유는?
- 반도체 어렵다는데···ASML 실적은 '딴 세상'
- 애플, 1분기 아이폰 판매 전년보다 소폭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