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SK㈜와 SK이노베이션이 빌 게이츠와 함께 소형모듈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 설계 기업에 공동 선도 투자자로 참여한다.
SK 양사는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승인을 받아 2억5000만달러(약 300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SK는 우리나라와 동남아 등에서 테라파워의 원자로 상용화 사업에 참여해 무탄소 전력 수급을 통한 탄소 중립 실현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최태원 회장의 제안에 따라 그룹 차원에서 추진한 '그린에너지 포트폴리오 구축'과 '넷제로(Net-Zero)' 조기 달성 전략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테라파워는 2008년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설립했다. 차세대 원자로의 한 유형인 소듐냉각고속로(SFR, Soduim-cooled Fast Reactor) 설계기술을 보유한 원전업계의 혁신 기업이다.
SFR 기술은 고속 중성자를 이용한 핵분열을 통해 발생한 열을 액체 나트륨 냉각재로 전달하고 이 과정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현재 가동중인 3세대 원전에 비해 안전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한 단계 발전한 4세대 원전 기술이다.
핵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높은 안전성을 확보해 차세대 SMR 기술의 선두권에 있다. 미국 에너지부의 자금지원을 받아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실증사업을 진행중이다.
테라파워는 SMR 외에도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인 액티늄-225(Ac-225) 생산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액티늄-225는 정상 세포 손상없이 암세포를 표적, 파괴하는 표적 알파 치료제의 원료 중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SK는 테라파워와 기존에 투자한 바이오 기업들 간 협력을 통해 치료제 개발과 위탁생산 등 바이오 영역에서 다양한 사업기회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무환 SK㈜ 그린투자센터장은 "테라파워의 혁신적 차세대 소형원전 기술과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 역량에 SK의 다양한 에너지, 바이오 포트폴리오를 연계시키면 강력한 시너지가 만들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크리스 르베크(Chris Levesque) 테라파워 CEO는 "테라파워는 기술 혁신을 통해 기후위기와 암 등 우리 세대가 당면한 가장 도전적인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김준 SK이노 부회장 "전동화·재활용 초점 포트폴리오 구축"
- SMR가 뭐길래···두산 이어 SK·현대도 참전
- 한미, '원전동맹' 선언···"신형원자로·SMR 개발 및 수출 협력"
- SK, SMR 기업 '테라파워'와 포괄적 협력···글로벌 탄소감축 실행
- 한수원, 미국 원전 운영사 단체와 SMR 개발 협력
- SK, 2Q 영업익 3.6조 '사상최대'···비상장 계열사 실적 호조
- SK㈜·SK에너지, 美 에너지솔루션 기업 경영권 인수
- SK㈜, 그룹 ESG 전략 담은 '2022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최태원 "기업가치 높일 신뢰·네트워크 키워야"
- SK이노, 새 브랜드 캠페인 '없었는데, 있습니다' 영상 3000만뷰 돌파
- SK㈜, 2000억원 규모 자기주식 매입 결의
- 한수원, SMR 국제 콘퍼런스 개최
- SK그룹, 非수도권 5년간 67조 투자···"BBC산업 강화"
- 정부, K-택소노미에 원전 포함···친환경 논란 재점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