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롯데케미칼이 기체분리막 탄소포집활용(CCU, Carbon Capture, Utilization) 시설을 활용한 고순도 질소 생산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롯데케미칼과 롯데건설은 지난 27일 롯데건설 기술연구원에서 탄소포집용 기체분리막 활용 고순도 질소 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MOU를 맺고 각 사가 보유한 핵심역량과 기술을 바탕으로 상호 유기적인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행사에는 황민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연구소장과 최영헌 이노베이션센터장, 김금용 롯데건설 기술연구원장과 석원균 기술연구기획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고순도 질소 생산 공정개발 △실증 시설의 설치·운영 △녹색인증 △사업화 적용 검토를 추진한다.
석유화학 공정에는 제품 생산 시 배가스(排gas)가 발생한다. 배가스에는 다량의 수증기와 연소 생성물, 미연소 연료, 그을음, 일산화탄소, 이상화탄소 등이 포함돼있다.
CCU 기술은 일반적으로 배출되는 배가스를 수집해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활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배가스에는 이산화탄소도 포함돼있지만 질소 역시 70% 가량 포함되어 있다. 롯데케미칼은 배가스에 포함된 질소를 모아 고순도화 함으로써 이를 활용할 계획이다.
질소는 주로 석유화학의 공정 가동이나 보수 등의 작업에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 롯데케미칼 역시 현재 설비 씰링(Sealing), 배관 퍼징(Purging) 및 드라잉(drying) 등에 질소를 활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질소는 제철·제강 제품의 생산, 자동차·전자기기의 용접, 식품 포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롯데케미칼은 고순도 생산 기술을 통해 확보한 질소를 공장에서 활용하거나 외부에 판매할 예정이다.
황민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연구소장은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CCU 적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롯데케미칼 기체분리막 CCU기술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금용 롯데건설 기술연구원장은 "이번 MOU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양사의 기술역량 강화와 협력의 계기가 마련됐다"며 "탄소중립을 위한 신규과제 발굴과 투자를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 롯데케미칼, 미국서 양극박 생산기지 짓는다
- 롯데케미칼-유한킴벌리, 자원순환경제 구축 '그린 액션 얼라이언스' 체결
- 롯데케미칼, 소재-디자인 융합···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 롯데케미칼, 재생플라스틱 소재 국내외 화장품 업계 적용 확대
- 롯데케미칼, 전기차 배터리 전해액 핵심소재 4종 생산 확대
- 롯데케미칼, 기체분리막 기술 블루수소 생산현장 적용
- 롯데케미칼-사솔케미칼, 배터리 전해액 유기용매 공장건설 MOU
- 롯데케미칼 "2030년 스페셜티·그린 사업 비중 60%로 확대"
- 롯데그룹·남부발전, 청정 수소·암모니아 생산·활용 사업 공동개발
- 석유화학, 1년 만에 영업익 '반토막'···"하반기 더 어렵다"
- SK가스-롯데케미칼, 수소에너지 합작회사 설립 승인
- 롯데케미칼, 탄소중립 원천기술 확보 'LINK 프로젝트' 가동
- 롯데케미칼, 화학적 재활용 페트 시생산 개시
- 롯데그룹 화학군-시지지-스미토모, 세계 최초 암모니아 광분해 기술 실증
- 롯데케미칼, 수소탱크 양산파일럿 설비 구축···연 1.5만개 생산
- LG화학·롯데케미칼·SK케미칼, 獨 플라스틱 박람회서 신소재 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