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전자가 앞으로 20년 간 약 2000억달러의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해 미국 텍사스주에 반도체 공장 11곳을 신설하는 중장기 계획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1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전문 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같은 삼성전자의 계획은 텍사스주 감사관실에 제출한 세제 혜택 신청서를 통해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신청서를 통해 텍사스주 오스틴에 2곳, 테일러에 9곳의 반도체 생산공장을 새로 짓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텍사스주 오스틴 지역 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삼성전자는 이미 오스틴에 반도체 공장 2곳을 운영 중이며, 테일러에도 170억달러를 들여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는 이번 신청서에서 테일러 신공장 9곳에 1676억달러(약 220조4000억원)를, 오스틴 신공장 2곳에 245억달러(약 32조2000억원)를 각각 투자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총 1921억달러(약 252조6000억원)를 투자해 1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게 삼성전자의 구상이다. 일부는 오는 2034년께 완공돼 가동에 들어가고, 나머지는 이후 10년에 걸쳐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5월말 텍사스주 테일러 교육구와 매너 교육구 등에 중장기 투자와 관련해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해 세제혜택신청서를 제출했다. 텍사스주는 챕터 313 세금 프로그램에 따라 지역 일자리를 많이 창출하는 기업에 10년간 재산세 감면 혜택을 제공하는데 이 조항은 올해 말로 만료된다.
세제 혜택 만료를 앞두고 삼성전자 외에 네덜란드 NXP와 미국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등 다른 반도체 기업들도 챕터 313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텍사스주 감사관실은 공지했다.
이번 계획에 그레그 애벗 텍사스주지사는 성명을 내고 환영의 뜻을 보였다. 애벗 주지사는 "새 공장들은 텍사스가 반도체 산업에서 미국의 리더 자리를 공고히 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면서 "투자를 늘린 데 대해 삼성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다만 삼성전자 측은 이번 신청이 반드시 투자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미국 사업 확장의 실행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중장기 구상일 뿐, 아직 구체적 계획은 아직 없다고 WSJ에 설명했다.
- 삼성·LG, 고효율·고성능 제품 '올해의 에너지 위너상' 휩쓸어
-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 내달 '언팩' 앞두고 "폴더블 혁신 확인"
- 삼성전자, 연산 성능 2배↑ '2세대 스마트SSD' 개발
- 삼성전자, '2022 국제 IoT·가전·로봇 박람회' 참가
- [초점] 재계, '3高 위기'에 숨고르기···부각되는 '총수 리더십'
- 작년 100대 기업 韓경제에 1238조원 기여···삼성전자 160조 1위
- 삼성전자서비스, 가전·휴대전화 서비스 품질지수 1위 선정
- 삼성, 캄보디아·라오스서 태권도 통해 부산엑스포 유치 응원
- 삼성전자, 국내 OTT 업체들과 손잡고 HDR10+ 콘텐츠 확대
- 삼성전자, 내달 10일 갤럭시 언팩···신형 폴더블폰 공개
- SK하이닉스, M17 증설 보류···최태원 "전술적 투자 늦출수도"
- 삼성전자, 'C랩 아웃사이드' 5기 스타트업 공모
- '제6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 8월 개최···참가 접수 시작
- 삼성, 세계 최초 '3나노 반도체' 출하···"파운드리 사업에 한 획"
- 삼성전자, 삼진어묵과 '비스포크 큐커 썸머 페스티벌' 진행
- 삼성전자, 갤럭시S22 보라 퍼플 신규 색상 출시
- '삼성 TV '더 프레임'으로 20세기 역사적 사진 선봬'
- 반도체의 힘, 삼성전자 2분기 매출 77조···"악재 속 선방"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