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SKT)의 인공지능(AI) 기반 음성 안내 플랫폼 '누구 비즈콜'이 만성질환관리 환자의 모니터링을 돕는다.
SKT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인공지능 기반 누구 비즈콜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전산 개발 및 만성질환 서비스 담당으로 참여하고 있는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SKT의 '누구 비즈콜'을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는 현재 109개 지역, 약 46만명 정도가 참여하고 있으며, 이중 1만명의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관리 환자들에게 올 7월부터 연말까지 시범적으로 누구 비즈콜을 활용한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SKT의 누구 비즈콜은 제휴사가 답변을 수집하거나 안내가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통화시나리오를 직접 쉽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번 시범사업에서도 고혈압, 당뇨병 및 복합 만성질환자에게 건강정보 등 주요 자가 측정 수치를 주기적으로 전화해 수집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기존에는 환자가 앱에 들어가 직접 수치를 기록해야 했는데, 전화를 받고 질문에 대답하기만 해도 측정 수치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전달할 수 있어 만성질환관리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SKT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향후 만성질환관리 외 다른 영역에도 AI 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다.
윤현상 SKT A. 상품담당은 "이번 사업협약을 계기로 만성질환 환자의 건강 모니터링에 누구 비즈콜의 선도적인 역할을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AI를 활용한 사회 안전망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SKT, 첫 로밍 고객에 50% 할인 쏜다
- SKT, 5G MEC 기술 활용 세계 최초 지상파 방송 송출 성공
- SKT 고객센터, '한국 우수콜센터' 10년 연속 선정
- SKT 이프랜드, 원밀리언과 메타버스 댄스 축제 연다
- SKT-더존비즈온, 올인원 비즈니스 플랫폼 개발 협약
- SKT "지난해 사회적 가치 창출 2조3408억원···4년 연속 성장"
- SKT, 올해 첫 골드번호 추첨 행사 진행
- SKT 컨소시엄,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 제안서 제출
- [CEO&뉴스] 유영상 SKT CEO "UAM 상용화 선도" 의지 표명
- 유영상 "SKT, AI 시대 고객 관계의 중심에 설 것"
- SKT, 아마존웹서비스와 '5GX 에지존' 서울에 구축
- SKT, 패스 앱에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이니셜' 서비스 담았다
- SKT,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서 '차세대 K팝 스타' 선발
- SKT, '패스 프라임' 고객 5만명 대상 미술품 분할소유권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