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현대건설은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붕괴사고 예방을 위해 '통합 자동계측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해 현장에 적용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설치된 자동계측 센서와 클라우드를 통해 가시설 구조물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안전사고를 철저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대건설에서 운영 중인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인 HIoS(Hyundai IoT Safety System)와 연동해 현장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자동으로 데이터 정리와 분석이 가능해 언제 어디서나 현장의 안전성을 파악할 수 있다.
현재 가시설 구조물의 안전사고는 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약 40%에 달할 정도로 사고 빈도가 높고, 사고 발생 시 주변 도로와 건물의 파손 및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했다. 구조물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동계측으로 주 2회 측정해 별도 데이터 분석해야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위험 징후 발생 시 예측 및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통합 자동계측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현장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 할 수 있으며, 지반 침하, 지반 붕괴 및 지하수 유출의 징후를 사전에 인지하여 즉각적 대응이 가능하다.
현대건설은 2022년부터 안전관리 플랫폼에 탑재해 전 현장에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통합 스마트 자동계측 모니터링 시스템은 안전사고 발생이 가장 빈번한 가시설 구조물 안전사고 및 굴착사고 예방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속적인 스마트 안전기술 발굴 및 적용을 통해 모든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겨울철 건설현장 사고 우려···노동부, 안전조치 등 현장 점검
- [위투게더] 현대건설, 협력사와 '노사합동 중대재해 근절' 협약
- 부영그룹, 가을 한파 대비 자체 안전점검 실시
- 국토부, 서울 공사 현장 안전 점검···위반 사례 69개 적발
- 반도건설, 협력사와 ESG경영 위한 온택트 간담회 개최
- 고위험 해체공사 현장, '안전신문고'로 신고한다
- SK에코플랜트, 중대재해 무사고 500일 달성
- 현대건설, 다우존스 DJSI 평가 '건설 부문' 2년 연속 세계 1위
- 현대건설, 마추픽추 관문 페루 친체로 공항 공사 착공
- 현대건설, 미국 홀텍과 소형 모듈 원자 사업 진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