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에쓰오일은 최근 대기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시설의 신·증설 공사를 잇따라 완료하고 가동을 시작했다고 23일 밝혔다.
에쓰오일은 잔사유 수소 첨가 탈황시설(RHDS, Residue Hydro-DeSulfurization Unit)의 증설 공사를 마무리하고 20일부터 가동을 개시했다. 앞서 이달 초에는 유증기 소각 설비(VCU, Vapor Combustion Unit)가 가동을 시작했다.
석유제품과 생산과정에서 대기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한 RHDS 증설과 VCU 신설에는 투자비 약 730억원이 투입됐다.
RHDS는 원료인 고유황 잔사유를 고온 고압의 반응기에서 수소 첨가 촉매 반응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해 생산 제품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을 줄이는 환경친화 시설이다.
이번에 증설한 탈황시설(제1기 RHDS)은 잔사유 처리량이 하루 3만4000배럴에서 4만배럴로 18% 증가했다.
탈황 처리한 잔사유는 후속공정을 거쳐 나프타, 초저유황 경유 등 경질유 제품을 생산하고, 일부는 저유황 선박 연료유로 전환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또 기존 정유 시설의 효율성과 생산 능력 제고 등으로 연간 400억원의 이익 개선 효과가 전망된다.
에쓰오일은 친환경 시설 투자 등을 통해 ESG경영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RHDS 증설은 지난해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연료유에 대한 황 함량 규제 강화 등 저유황 선박유 수요 증가 추세에 적극 대응해 ESG 경영의 일환으로 투자를 단행했다"며 “울산공장의 원유, 제품 저장과 저장탱크의 유증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더 큰 용량의 VCU 건설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정유업계, 1분기 흑자전환 기대감···"본격 회복은 하반기부터"
- 에쓰오일, 동광화학과 탄산 사업 협력 MOU
- 에쓰오일, 'DT 로드맵' 수립···2023년 디지털 공장·마케팅·근무
- 에쓰오일, 연료전지 기업 투자···수소사업 진출
- 울산 에쓰오일 송유관 원유 유출 사고···소방·해경 긴급 방제
- 에쓰오일, 화상 피해 한부모 가정 치료 후원금 1억원 전달
- S&P, 에쓰오일 국제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안정적' 상향
- [주총] 에쓰오일, 사외이사에 한덕수 전 국무총리 선임
- 에쓰오일, 주유소서 전기차 충전서비스 시작
- 에쓰오일, 1분기 영업익 6292억···5년내 분기 최고
- 에쓰오일, 청년 푸드트럭 유류비 후원금 1억원 전달
- 에쓰오일, 용인소방서 순직소방관 유족에 위로금 전달
- 에쓰오일, 세계 첫 준법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