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한미약품은 미국 제약기업 스펙트럼에 기술수출한 호중구감소증 치료 신약 롤론티스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가 연기됐다고 27일 밝혔다. 호중구는 주로 골수에서 만들어지는 과립백혈구(과립구)의 일종이다.
한미약품은 코로나19 세계 확산에 따라 FDA가 평택 바이오플랜트 방문 실사를 하지 못함에 따라 지난 24일로 예정된 롤론티스 허가일을 지킬 수 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스펙트럼은 26일(현지시간) "FDA로부터 '한국 실사 완료 때까지 롤론티스 허가를 연기한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실사를 신속히 진행할 방법을 FDA와 함께 찾고 있다"고 발표했다.
평택 바이오플랜트 실사 외에 미국 내 롤론티스 완제 생산처, 완제 포장 사이트, 스펙트럼 본사 대상 FDA 실사는 모두 완료된 상태다. FDA가 허가서류 검토를 위해 요청한 관련 자료 제출도 모두 완료됐다.
그러나 롤론티스의 국내 허가 절차는 순조롭다. 한미약품은 이르면 연내 허가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본다. 한미약품은 올해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롤론티스 국내 허가를 신청했으며, 식약처는 최근 평택 바이오플랜트 실사를 완료했다.
롤론티스는 한미약품이 개발한 호중구감소증 치료제로, 스펙트럼에 2012년 기술수출했다. 스펙트럼은 글로벌 임상 3상을 끝내고 지난해 10월 FDA에 시판 허가를 신청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송영숙 한미약품그룹 회장, 지주사 대표 선임
- 한미약품 기술수출 신약 포지오티닙 임상 2상서 치료효과 확인
- 지난해 임상계획 승인 700건 돌파···항암제 최다
- 한미약품, 먹는 항암제 오락솔 美 FDA 우선심사 대상 지정
- 한미약품, 중국서 코로나19 치료용 '이안핑' 임상 추진
- 얀센 반환한 한미약품 신약물질, MSD에 1조원대 기술수출
- 한미사이언스·테라젠바이오, 감염병 진단법 공동개발 추진
- 한미약품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신약, FDA 패스트트랙 지정
- 한미약품, 제약·바이오업계 첫 K-ICT 정보보호 우수상
- 33호 국산신약 탄생···한미약품 '롤론티스'
- 한미약품 파트너사 미국암학회서 '롤론티스' 임상결과 발표
- 한미약품 "호중구감소증 신약 롤론티스, 한국인 대상 효과 동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