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분쟁조정 사건을 신속‧공정하게 해결하고, 증가하는 통신분쟁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이용자정책국 내에 '통신분쟁조정팀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최근 5G 품질관련 분쟁접수는 지난해 하반기 5건에서 올해 상반기 82건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사업자‧이용자 간 분쟁의 원활한 협의와 통신분쟁조정위원회 사무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그동안 이용자정책총괄과 내에서 수행하였던 분쟁조정업무를 전문적으로 맡아 처리할 조직을 마련했다.
통신분쟁조정팀에서는 △분쟁 조정 및 조정전 합의 △재정사건의 처리 및 이행 여부의 점검 △분쟁 관련 전문자문단의 구성 및 운영 △분쟁의 사전예방 및 대국민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방통위는 지난 6월 11일 '통신분쟁조정 상담센터'를 개소하고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한 비대면 방식의 상담‧분쟁 시스템을 도입해 시간·지역의 구애 없이 피해 신고‧접수가 가능하도록 한 바 있다. 또한 올해 12월부터는 온라인으로 분쟁조정 신청 및 처리 경과를 확인할 수 있는 '통신 불편 접수‧상담 시스템'을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통신분쟁조정위원회는 증가하는 5G 서비스 불편에 대한 분쟁 건의 신속하고 일관된 처리를 위해 '특별소위'를 구성·운영했으며, 현장점검, 사용자 및 이용자와의 의견 수렴 등 분쟁 건의 합리적인 해결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상혁 위원장은 "통신분쟁조정 전담부서 운영으로 분쟁사건 해결의 전문성 및 공정성을 제고하고, 앞으로 분쟁사건에 대한 현장점검을 강화해서 통신 불편·불만을 원스톱으로 해결해 이용자 권익 보호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갤노트20을 공짜로 준다고?"···방통위 '사기 판매 주의보'
- 삼성전자, 시청각 장애인용 TV 공급 개시
- 한상혁 방통위원장, 닐 모한 구글 수석부사장과 영상면담
- 방통위, 지원금 차별 지급 이통3사에 512억원 과징금 부과
- 정부, 2022년까지 한국판 넷플릭스 5개 만든다
- 한상혁 방통위원장, EBS 공사창립 20주년 기념식 참석
- 이통사, 역대급 과징금 폭탄 위기에 '긴장'
- 방통위, AI 스피커 음성 수집·이용 동의절차 간소화 추진
- "MZ세대 마음 잡아라"···이통3사, 마케팅 열기 '후끈'
- 방통위, 코로나19 방역 방해 엄정 대응
- 정부, 미디어 팩트체크 플랫폼 구축···디지털 윤리교육도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