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1일 새해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완화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배포한 '2020년 신년사'를 통해 "올해 국내경제의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을 하회하고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압력이 약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이어 "이 과정에서 완화정도의 조정 여부는 대외 리스크 요인의 전개와 국내 거시경제 흐름 및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은은 경기회복을 뒷받침하고 물가둔화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지난 7월과 10월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해 연 1.25%로 운용하고 있다.
이 총재는 최근 미중 무역협상에 일부 진전이 있었으나 보호무역주의 지속과 지정학적 리스크는 여전히 하방위험 요인으로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대내적으로는 성장동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저출산·고령화, 노동시장 이중구조, 계층 간 양극화 등이 성장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은 새삼 지적할 필요가 없다"면서 "글로벌 가치사슬의 약화로 인해 과거와 같은 수출중심의 성장에 의존하기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올해 우리나라가 가장 주력해야 할 과제는 단기적으로 성장세 회복을 도모하면서도 혁신성장 동력을 확충해 나가는 것"이라고 했다.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고 신산업을 육성하는 데 전력을 기울이는 한편, 민간이 창의적 혁신역량을 발휘해 투자 확대, 양질의 일자리 창출, 효율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당부다.
그는 조직 내부적으로는 "통화정책을 적시에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경제흐름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예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금융·경제 상황 판단지표 확충, 정보통신(IT)기술 활용 등을 통해 경제전망의 정도(精度)를 제고하는 데 더욱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책 커뮤니케이션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저금리·저물가 상황 하에서는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라는 두 목표 간 상충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며 "한은의 정책결정을 경제주체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판단의 근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을 하회하고 있는 만큼 물가 상황을 면밀히 분석·점검하고 이를 국민에게 소상히 설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금융·경제 여건 변화는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르고 복잡하며 그 전개 방향조차 가늠하기 어렵다"고 언급하면서 "이 같은 정책여건의 급격한 변화에 선제적이고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연성과 전문성이 요구된다"고 부연했다.
- [신년사] 성윤모 산업부 장관 "소·부·장 성과 가시화하겠다"
- [신년사] 박재홍 주건협 회장 "주택 규제 완화, 정부 지원 절실"
- 경제단체장들 신년사 "규제완화로 기업활력 높여야"
- [신년사] 손경식 경총 회장 "기업 활력 제고, 최우선 과제 돼야"
- [신년사] 허창수 전경련 회장 "규제개혁·선제적 R&D·투자 절실"
- [신년사] 은성수 금융위원장 "경제 흐름 대전환 필요한 시점"
- [신년사]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디지털 전환' 적극 추진해야"
- [신년사] 김광수 농협금융 회장 "내년 디지털 전환은 '생존전략'"
- [신년사] 윤석헌 "고위험 금융상품 총괄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 [신년사]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고객신뢰·혁신으로 1등 금융그룹 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