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서울 아파트 정비사업 공사비가 3.3㎡당 1000만원을 넘어서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분양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
공사비뿐만 아니라 택지비까지 치솟는 상황에서 향후 분양가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전문가들은 내 집 마련 수요자라면 '현재 분양가'를 사실상 마지막 기회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19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건설공사비지수는 131.03로, 2020년 7월(99.31) 대비 5년 만에 31.72% 상승했다. 이는 2015년 7월부터 2020년 7월까지의 상승지수(14.31%) 두 배 이상 오른 수치다.
이러한 공사비 상승은 즉각 분양가에 반영되고 있다. 최근 1년간 서울 주요 단지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7000만원 안팎까지 치솟았다. △오티에르포레 7380만원 △청담르엘 7209만원 △래미안원페를라 6833만원 △아크로리츠카운티 6666만원 △디에이치대치에델루이 6530만원 △잠실르엘 6104만원 등이다.
특히, 재건축이 추진 중인 잠실 장미1~3차 재건축의 경우 전용면적 84㎡ 기준 조합원 분양가가 23억4400만원으로 책정됐다. 통상 조합원 분양가격이 일반 분양가격의 70~80%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일반 분양가는 3.3㎡당 8000만원을 넘을 수도 있다.
서울 정비사업장의 평균 공사비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주거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정비사업 평균 공사비는 평당 842만7000원으로, 전년 대비 12.3%, 2020년 대비 59.4% 상승했다. 실제 현장에서는 6월 압구정2구역 1150만원, 7월 여의도 대교아파트 1120만원,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 1132만원, 2지구 1160만원 등으로 책정되며 '평당 1000만원 시대'를 공식화했다.
업계는 분양가 상승 압력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국토교통부는 이달 분양가 상한제 산정에 적용되는 기본형 건축비를 직전 고시(올해 3월) ㎡당 214만원에서 이번 고시(2025년 9월 15일) 217만4000원으로 1.59% 인상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의 분양가는 몇 년 뒤 다시 보기 어려운 가격이 될 수 있다. 공사비와 택지비가 계속 오르는 만큼 부담이 더 커지기 전에,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양 기회를 선점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