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0.7% 성장하며, 0.1% 이하 초저성장 국면에서 탈출했다.
관세 불확실성에도 수출이 큰 폭 상승한 데다, 민간소비 역시 크게 개선된 영향이다. 이로 인해 국민들의 실질소득도 1.0%나 증가했다.
3일 한국은행은 '2025년 2분기 연간 국민소득(잠정)'을 통해 올해 2분기(4~6월)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가 전분기 대비 0.7%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발표된 속보치(0.6%)와 비교하면 0.1%포인트(p) 상향 조정됐으며,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0.6%로 나타났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제조업은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전기 대비 2.5%나 증가했다. 서비스업도 도소매, 숙박·음식업, 운수업 위주로 0.8% 증가했다. 다만 건설업은 건물·토목 건설이 줄어 3.6% 감소했다.
지출항목별로 보면 수출이 반도체와 석유·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4.5%나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수입 역시 원유나 천연가스 같은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4.2% 늘었다.
민간소비는 0.5% 증가했다. 승용차 등 재화소비와 의료 등 서비스 소비가 모두 늘어난 점이 고무적이다. 정부소비 역시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1.2% 증가했다.
반면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 위주로 2.1% 감소했으며,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1.2% 줄어드는 등 전체적으로 투자 부문이 부진했다.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민간 부문의 경우1분기 -0.3%p에서 2분기 0.6%p로 크게 확대됐다.
항목별로 보면 내수의 경우 -0.5%p에서 0.4%p로 크게 개선됐다. 이 중 민간소비의 경우 -0.1%p에서 0.2%p로, 정부소비는 0%p에서 0.2%p로 각각 확대됐다. 특히 순수출 기여도는 0.2%p에서 0.3%p로 개선됐다.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 대비 1.0%나 증가하면서, 전기(0.1%) 대비 성장폭이 확대됐다.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줄었으나,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무역손실이 축소되면서 실질 GDP 성장률(0.7%)을 상회했다는 평가다.
실질 GDP에 그 해 물가를 반영한 명목 국민총소득(GNI)의 경우 전기 대비 2.0%나 급증했다.
GDP디플레이터는 전년 동기 대비 2.8% 상승했다. GDP디플레이터는 GDP에 포함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반영한 종합물가지수다. 총저축률(35.6%)은 전기 대비 0.7%p 올랐지만, 국내총투자율(28.8%)은 같은 기간 0.1%p 하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