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잠실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 모습. (사진=이진희 기자)
서울 송파구 잠실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 모습.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서울 주택 가격이 들썩이자 금융당국이 은행권을 소집하는 등 대응에 나선다.

15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오는 16일 여의도 금감원에서 은행권 가계대출 담당 부행장들을 소집해 비공개 가계부채 간담회를 진행한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서울 강남구의 아파트 가격이 주간 기준 1% 이상 오르고, 서초·송파 등과 마포·용산 등 지역이 0.7~0.8% 오르는 등 주요 지역의 거래 가격이 급등한 영향이다. 

서울 주택 가격 상승은 가계대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말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55조3000억원으로 전월인 4월 말 대비 5조2000억원 늘었다. 가계대출 증가액의 대부분은 주택담보대출로 한 달 만에 4조2000억원(전세자금 포함)이 늘었다.

금융당국은 일부 은행이 주택담보대출 만기를 30년에서 40년으로 늘려 대출 한도를 늘려주거나, 서울에 한해 막아뒀던 조건부 전세 대출을 다시 취급하는 등 공격적인 영업에 제동을 걸 것으로 보인다.

특히 NH농협은행과 SC제일은행 등에 대해서는 이달 현장점검과 별도의 세부 관리 계획을 제출받는다는 계획이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70%와 90%를 넘는 대출 비중을 각각 5%와 3%내로 관리하도록 한 목표 비중도 점검할 방침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지난 12일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주재로 국토교통부·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참석한 '부동산 시장 점검' TF를 열고 시장 상황과 대책을 논의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세금으로 집값을 잡지 않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