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퇴직연금 디폴트옵션(Default Option)의 3월 수익률이 전 구간에서 부진한 흐름을 보인 가운데, 증권사 상품들이 고위험·중위험군에서 상대적 방어력을 입증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특히 신한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단기 수익 방어와 장기성과에서 경쟁력을 나타냈다.

1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3월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수익률은 전 구간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러나 고위험·중위험군에서는 증권사 상품들이 낙폭을 최소화하며 시장 방어력을 보여줬다.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DC형·IRP)의 가입자가 별도의 운용 지시를 하지 않았을 때 자동으로 적용되는 기본 투자상품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고위험군에서는 신한투자증권 디폴트옵션 고위험 포트폴리오2가 -0.05%로 1개월 수익률 낙폭이 가장 작았다. 한국투자증권도 -0.98%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선방했고, 1년 수익률에서는 22.72%로 고위험군 최상위 성과를 나타냈다.

중위험군은 3월 한 달간 상위권 상품들조차 대부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며 단기 흐름에서는 다소 부진한 성과를 보였다. 신한투자증권 디폴트옵션 중위험 포트폴리오2가 -0.02%로 가장 낮은 낙폭을 기록했다. 광주은행(-0.09%), 하나증권(-0.28%) 등이 뒤를 이었다.

1년 수익률 기준으로는 확연한 성과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투자증권의 중위험 포트폴리오2는 15.83%를 기록하며 해당 부문 1위를 차지했고, 동일상품을 담고 있는 삼성생명과 한화생명의 중위험 상품들도 각각 10.61%로 공동 2위에 올랐다. 이어 삼성생명의 또 다른 상품과 하나증권도 10% 내외의 수익률을 보이며 장기 성과 면에서는 상위권을 형성했다. 다만 단기 수익률과 더불어 전월 대비 하락세는 피하지 못했다.

저위험군에서는 삼성생명, 한화생명, 근로복지공단의 상품이 1개월 수익률 0.36%로 공동 1위를 차지하며 단기 성과에서 강세를 보였다. 이들 상품은 모두 전월 대비 0.23%p 하락했지만, 마이너스 구간으로 떨어지지 않으며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반면 이를 제외한 나머지 상품들은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특히 한화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의 상품은 각각 -1.89%, -1.44%를 기록하며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1년 수익률 기준으로는 한국투자증권 디폴트옵션 저위험 포트폴리오2 상품이 9.83%로 저위험군 내 가장 높은 연간 성과를 기록했으며, 삼성증권(9.12%), 삼성생명(7.31%)이 뒤를 이었다. 

에프앤가이드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3월 디폴트옵션 시장은 수익률 하락이 광범위하게 나타난 가운데 일부 사업자들이 장단기 수익률 모두에서 존재감을 보였다"며 "단기 낙폭이 두드러졌던 고위험·중위험군에서는 방어적 성과를 거둔 증권사들이 주목을 받았고, 초저위험·저위험군에서는 보험사들의 꾸준한 강세가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처럼 상품별 성과 편차가 커지는 상황에서, 디폴트옵션을 단순한 '기본값'으로 두기 보다는 자산 구성과 운용 전략의 실효성을 함께 따져보는 능동적 투자 판단이 중요해졌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