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재 기자]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삼일절 연휴 동안 일본 여행객은 크게 늘어난 반면 국내 여행객은 오히려 감소했다.
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일 국내 공항에서 일본 노선을 이용한 승객은 출입국 합산 결과 총 23만195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국내 공항에서의 일본 노선 항공편 이용객과 비교해 10.2%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에도 삼일절 연휴는 사흘간 있었다. 또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사흘간의 삼일절 연휴 당시보다도 15.1% 많다.
올해 삼일절 연휴에는 인천공항에서 16만2235명이, 한국공항공사가 현재 국제선을 운영하는 김포·김해·제주·청주·대구 등 다른 5개 공항에서 6만9721명이 일본 노선을 이용했다. 각각 지난해 삼일절 연휴보다 9.1%, 12.9% 늘었다.
일본 항공 노선 이용객 증가세는 전반적인 국제선 상승세를 웃돌았다. 올해 삼일절 연휴 전체 국제선 이용객은 81만448명(인천 64만2240명, 타 공항 16만8208명)으로, 지난해 연휴(75만2409명)보다 7.7% 많았다.
일본 노선의 인기는 외국인의 무비자 개인 여행이 재개된 2022년 말부터 고공행진하고 있다. 고물가와 엔저 현상이 지속되면서 소비 부담이 낮아진 데 따른 것이다.
일본 여행객이 늘어난 반면 국내 여행객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삼일절 연휴 동안 국내선 항공 승객은 45만2873명으로, 전년 대비 12.5% 감소했다. 김포공항에서는 13만8058명으로 15%, 제주공항에서는 19만8547명으로 10.5% 각각 줄었다.
한편 항공사들은 늘어난 수요에 발맞춰 도쿄와 오사카 등 인기가 높은 대도시 노선을 증편하는 한편, 일본 소도시 노선에도 속속 취항하면서 승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11월 27년 만에 인천발 구마모토 노선 운항을 재개했으며, 아시아나항공은 8년여 만에 이 노선에서 다시 정기편을 띄웠다.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12월 국내 항공사 중 처음으로 인천에서 도쿠시마로 오가는 노선에 취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