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과 관련해 "미국과 일본 간 금리격차가 커지고 엔화도 약세여서 엔캐리 청산 유인은 낮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24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일본은행 금리 인상, 트럼프 정책 동향 등에 따른 시장 영향을 점검한 후 이같이 말했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이날까지 이틀간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에서 0.5% 정도로 0.25%p(포인트) 인상했다. 일본은행이 금리를 올리는 건 6개월 만으로, 이번 인상으로 일본 기준금리는 17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이후 시장 일부에서는 엔캐리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지난해 7월 31일 일본은행이 금리를 인상한 후 낮은 금리로 엔화를 빌려 다른 나라의 자산에 투자하는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이뤄졌고, 뒤이어 미국 고용지표가 나빠지면서 국내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 5일 코스피는 장중 10.81%, 종가기준 8.77% 급락하며 '블랙먼데이'를 맞은 바 있다.
다만, 이 원장은 엔캐리 청산 유인이 낮다고 판단하며 "금융상황을 작년 7월과 비교하면, 작년에는 미-일 금리격차가 축소되며 엔화가 강세였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도 "작년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직후 발표된 미국 고용지표 악화로 경기침체 우려가 부각되며 시장 충격이 발생한 만큼 향후 대외여건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설연휴 중에도 Fed 및 ECB의 금리결정를 비롯해 미국 물가지표 발표 등에 따라 글로벌 시장 변동성은 커질 수 있으므로 언제든 대응할 수 있는 준비태세를 갖춰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트럼프 정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기재부, 금융위 등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강화하면서 필요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설연휴 전후 보이스피싱, 불법사금융 등 민생침해 금융범죄 예방과 단속에도 전념을 다하고 불법행위 적발 시 엄정 대처해달라"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