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자본시장 선진화와 기업 밸류업은 단발성 이벤트가 아니라 국가적 과제로 꾸준히, 끈기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 기자 간담회에서 정부 정책 성과를 설명하면서 "최근 국내 증시가 해외 주요국 증시 대비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여 아쉬운 면도 있으나 보다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자본시장 변화를 봐라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무차입 공매도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내년 3월 30일까지로 예정된 공매도 금지기간 중 근본적 공매도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지난 6월에는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과 개인과 기관 간 공매도 거래조건 통일, 불법 공매도에 대한 제재·처벌 강화를 골자로 하는 공매도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9월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하위법령 개정 등 후속 조치가 진행 중이다.
그는 "우리나라의 공매도 제도에 대해 투자자, 특히 해외 투자자에게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고 규제 준수를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며 "방안 발표 직후 국·영문 가이드라인과 맞춤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국내·외 투자자 모두 믿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 즉 신뢰 회복이 가장 중요하다"며 "신뢰가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장 질서가 바로잡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동안의 정책적 성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부위원장은 "범정부적으로 이루어진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도 폐지, 외환시장 개장시장 연장, 국채통합계좌 개설 등 해외 투자자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 따라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성과도 있었다"며 "안정적인 해외 투자자금이 국내 자본시장에 유입될 수 있을 것이고 채권시장뿐 아니라 주식시장의 유동성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이어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등 후속 조치 마무리, 국내 최초 대체거래소 출범, 합병·물적분할과 상장폐지 등의 제도개선이 이어질 예정으로 열린 자세로 항상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