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최근 5년여간 주요 시중은행에서 210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는데, 이 중 신한은행에서 발생한 사고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으로 보면 우리은행이 가장 컸다.
21일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시중은행에서 발생한 금융사고(횡령 및 유용·사기·배임·도난 및 피탈) 건수는 총 210건이었다. 사고 금액은 1982억원에 달했다.
사고 유형별로는 횡령·유용이 114건(1009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기 67건(869억원) △배임 20건(99억원) △도난·피탈 9건(3억8000만원) 등이었다.
은행별 사고 건수를 보면 신한은행에서 발생한 사고가 29건으로 가장 많았다. △우리은행·하나은행 28건 △KB국민은행 27건 △NH농협은행 23건으로 뒤를 이었다.
금융사고 금액은 우리은행이 가장 많았다. 5년여간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금액은 약 1131억원이었다. 우리은행은 올해 직원의 700억원대 횡령 사건이 드러난 바 있다. 이어 △하나은행 159억원 △신한은행 141억원 △NH농협은행 139억원 순이었다.
강 의원은 "반복되는 은행권 금융사고는 은행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떨어뜨리는 주범"이라며 "금융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은행은 내부통제를 강화하겠다고 이야기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금융당국이 직접적으로 개입해 유사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이복현 금감원장 "단기유동성·부동산금융 리스크 점검 강화"
- 금융당국, 내부통제 제도 개선···"책임소재 명확히 한다"
- 잇단 은행권 횡령 사고에···금감원, '명령 휴가제' 강화
- 금감원 "우리은행 직원, 8년 간 700억 횡령···내부통제 미흡"
- 우리은행, 유니세프와 사회공헌 기부 협약
- 금융사가 내는 '감독분담금·예금보험료' 年 5조원 육박
- 우리은행, 신종자본증권 3500억원 발행
- 檢, 우리은행 직원 횡령액 93억 추가 확인···총액 707억
- NH농협은행-한국환경공단, 공동 ESG캠페인 실시
- '외환이상거래·횡령사고'에 5대 은행장 국감 증인 줄소환
- [초점] '5대 은행장 줄소환' 정무위 국정감사 주요 쟁점은?
- 하나증권, 현직 임원 48억 규모 배임 정황 포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