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세계 최대 규모의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설비 자동예측진단시스템의 상품화에 나선다.
한수원은 자동예측진단시스템의 상품화 추진을 위해 '프로메테우스(Prometheus)'로 상표명을 출원하고 PTC코리아와 상품 홍보·마케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한수원은 2019년부터 국내 가동원전 주요 회전설비 1만4000여대에 대한 24시간 상태감시와 자동예측진단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이 모델을 활용한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자동예측진단시스템은 설비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탐지·진단해 불시고장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한수원은 통합예측진단 센터를 구축하고 올 4월부터 시범운영중이며, 시범운영 동안 22건의 발전소 설비결함 사전 감지와 고장 예방 등 성능을 입증하고 있다.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자동예측진단시스템은 △머신러닝 기반 터빈·펌프 등 회전설비 자동상태진단 △딥러닝 기반 발전기·변압기 등 전력설비 열화상 자동상태진단 △현장 측정데이터 자동오류판정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의 설비 예측진단 모델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기존 전문가의 경험에 의존하는 룰베이스(Rule Base) 진단 모델과 차별화된 기술 상품이다.
전혜수 한수원 디지털혁신추진단장은 "PTC코리아와의 전략적 기술 협력으로 사물인터넷(IoT)과 증강현실(AR) 기반의 빅데이터·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측진단기술의 국내외 시장에서 상품화 판로 확대를 위한 환경이 조성돼 원전 운영의 안전성을 끌어올리고, 한수원의 원전 수출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한수원, 캐나다 CNL과 원전해체 기술 확보 MOU
- 한수원, SK에코플랜트·블룸에너지와 SOFC 핵심부품 국산화 MOU
- 한수원, 원전 해체 58개 상용화 기술 연말까지 확보
- 한수원, ESG 위원회 발족···탄소중립 대응계획 논의
- 한수원, 루마니아 원전 대형 기자재 공급 수주
- 한수원 협력중소기업, 터키 원전 기자재 공급사업 수주
- 한국수력원자력, 프랑스 오라노와 '원전해체협력' 연장·확대
- 한수원-전주시-태영건설, 수소융복합사업 본격 추진
- 한수원, 신고리6호기 원자로 설치
- 한수원, 도로 유휴부지 활용 100MW 태양광 발전 개발
- 한수원, 월성원전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맥스터' 준공
- 한수원, 체코 신규원전 입찰개시···미·프랑스와 경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