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은 길찾기∙버스∙지하철 통합정보 서비스 'T맵 대중교통' 앱을 통해 지하철의 각 칸별 혼잡도 예측 정보를 제공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15일부터 T맵 대중교통 앱 업데이트를 통해 적용될 예정으로, 먼저 수도권 1~8호선을 대상으로 제공되며, 추후 수도권 미적용 호선에도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승객들이 지하철을 탑승하기 앞서 칸별 혼잡도를 미리 확인함으로써 지하철을 보다 안전하게 분산∙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번 서비스를 마련했다.
T맵 대중교통 앱으로 지하철 이용시 클릭 한번으로 △초록 △노랑 △주황 △빨강 4단계의 색상을 통해 칸별 혼잡도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초록은 승객이 칸내 여유로운 상태를, 빨강은 서 있는 승객들의 어깨가 밀착돼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 등을 나타낸다.
또한 모든 칸이 같은 혼잡도 단계일 경우, 조금이라도 더 여유 있는 두 개의 칸을 알려주는 '추천' 기능을 적용했다.
T맵 대중교통의 칸별 혼잡도는 SK텔레콤의 향상된 데이터 분석 기술 역량과 고객의 생생한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은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데이터 분석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혼잡도 패턴정보의 정확도를 높였고, 지난 6월 지하철 혼잡도 예측 정보를 국내 최초로 적용한 이후 1만명이 넘는 고객 의견을 분석해 서비스를 개선했다.
아울러 서비스 화면에 만족도 별점 평가 기능을 새롭게 추가해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목소리를 보다 빠르게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이번 T맵 대중교통 업데이트에는 지하철 칸별 혼잡도 서비스 외에도 서울, 수도권 지역의 버스 노선에 대한 정류장별 첫차·막차 정보 제공과 대중교통 관련 주요 사고 상황을 안내하는 기능을 추가해 이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였다.
T맵 대중교통 앱은 T맵 운영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4년 출시됐다. 이용자들에게 도보∙지하철∙버스 등 다양한 이동 수단을 조합, 최적의 이동 방법을 제시하고 개인별 출퇴근 경로, 하차 알림 등 맞춤 기능을 제공한다.
이종호 SK텔레콤 모빌리티사업단장은 "5G 네트워크와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AI분석기술 등을 활용해 내년에는 혼잡도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T맵 대중교통 등 고객 맞춤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 SKT, 1대 1 '인택트 채용 상담' 진행
- 한화시스템, 차세대 보안 '양자암호통신' 기술 확보 나선다
- SKT–삼성–HPE-인텔 '손잡았다'···'5G 네트워크 가상화' 초협력
- SKT, AI 발전방향 모색 'ai.x2020' 컨퍼런스 개최
- 이통3사 동반성장 지수 '최우수'···"코로나19 위기 상생 극복"
- "갤럭시 S20·벨벳 싸게 팔아요"···구형폰 공시지원금 '상향'
- [이벤트] 씽씽, T멤버십 회원에게 킥보드 할인쿠폰 제공
- SKT, '널 위한 응원가' 청춘 응원 캠페인
- SKT, 양자암호통신 관련 세계 표준 2건 예비 승인
- SKT, 차세대 양자 기술로 대형 가스 시설 안전 지킨다
- SKT-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이니셜' DID로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
- "100가지 게임을 월 1만6700원에"···SKT '5G 클라우드' 출시
- SKT, '미스터트롯' 노래 담은 시니어 전용폰 출시
- SKT 'T맵 미식로드', 두 달 만에 누적 이용자 100만 돌파
- SKT, '긴급 재난문자 알림 서비스' 200여개국으로 확대
- SKT, '미더스' 기반 양방향 원격수업 서비스 개발
- SKT-인바이츠헬스케어-마크로젠, 유전자 검사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