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의 인공지능 전화 모니터링 시스템 '누구 케어콜'이 경남지역 코로나19 대응의 도우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SK텔레콤은 코로나19 관련 자가격리∙능동감시 중인 대상자의 증상을 모니터링하는 AI 시스템 '누구 케어콜'의 경상남도 지역 도입 한 달을 맞아 그간의 운영 성과를 25일 공개했다.
누구 케어콜은 SK텔레콤이 자사의 인공지능 누구(NUGU)를 활용,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템으로, 지난달 20일부터 경상남도 지역 18개 시군 20개 보건소에 적용돼 자가격리∙능동감시 대상자의 발열·체온·기침∙목아픔 등 코로나19 관련 증상 발현 여부를 체크해왔다.
SK텔레콤은 누구 케어콜이 지난 한 달간 기존 보건소 인력을 대신해 경상남도 내 자가격리∙능동감시 대상자 2442명을 대상으로 2만4000 콜 258시간의 전화 모니터링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경상남도는 누구 케어콜 도입 후 보건소의 자가격리∙능동감시자 전화 모니터링 관련 업무가 약 85% 가량 감소했다며, 코로나19 발생 후 과중해진 현장의 업무 경감에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
또한 누구 케어콜은 지난 한 달 간 발생한 경상남도 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의 약 40%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나머지 60%의 확진자가 해외입국자 전수검사 대상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모니터링 대상인 자가격리∙능동감시자의 상태를 완벽하게 파악해낸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SK텔레콤은 경상남도 및 현장 보건소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지역별 맞춤 솔루션 개발이나 AI 수신 시나리오 추가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현아 SK텔레콤 AI서비스단장은 "코로나 19의 방역을 위해 각계에서 수고해주시는 분들의 노고를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고자 누구 케어콜을 도입했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 서비스와 기술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 SKT, 신한은행과 소상공인 지원 사업 업무협약
- SKT 'T맵주차', 공공·공영주차장 서비스 확대
- 이통3사 '패스', 24일부터 노래방·클럽 등 QR코드 출입 가능
- 이통3사 본인인증 앱 '패스', 운전면허증 품었다
- SKT '점프AR·VR', LoL 성지로 뜬다
- 이통3사-KAIT, '온라인 자율정화 협의체' 구성
- 넥슨-SK텔레콤, 캐주얼게임 3종 제휴 프로모션 진행
- 공정위, 애플 갑질 '반성문' OK···소비자·사업자 '상생안' 수용
- SKT-네슬레퓨리나, 동물자유연대에 사료 500kg 기부
- SKT, 5G 기지국 기술 TTA 표준화로 생태계 활성화
- 이통3사, 언택트 시대 '실감형 콘텐츠' 경쟁
- SK텔레콤, 매장에 무인운영 방식 도입
- SKT-한수원, 5G·양자암호 기반 스마트 플랜트 본격화
- SK텔레콤, 한국서비스품질지수 21년 연속 1위
- SKT, 종이 서류 제출 없는 휴대폰 보험 시대 연다
- SKT, 중소기업 대상 구독형 스마트팩토리 서비스 출시
- SKT-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감독과의 대화' 국내 첫 VR 중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