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오는 6월 3일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테마 관련 주가 과열 양상이 지속됨에 따라, 정치테마주의 이상급등과 관련한 투자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23일 '투자유의 안내'를 발동했다.
최근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 이후, 여야 각 대선후보 등판에 따른 관련 테마주의 주가가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4월 18일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115종목 중 52%인 60종목이 정치테마주에 해당된다. 시장경보제도는 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의 단계로 이뤄져 있다.
특히 올해 4월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37개 종목 중 78%인 29종목이 정치테마주다. 또 지난해 12월부터 현재까지 현저한 시황변동에 따른 조회공시를 의뢰한 62종목 중 56%인 34종목이 정치테마주에 해당된다.
정치테마주의 주가변동률은 121.81%로 시장 평균(코스피 16.47%, 코스닥 24.12%) 대비 약 6배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기업들은 자산규모 및 매출액 규모가 시장 평균보다 작은 중·소형주 위주이며, 영업실적도 시장 평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종목이 많았다.
정치테마주의 평균 매출액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3317억원(시장 평균 2조2290억원), 코스닥시장 590억원(시장 평균 1214억원) 수준이다. 유가증권시장 테마주의 평균 영업이익은 36억원(시장 평균 1506억원)·당기순손실은 10억원(시장 평균 당기순이익 1454억원), 코스닥시장 테마주의 평균 영업이익은 5억원(시장 평균 51억원)·당기순손실은 5억원(시장 평균 당기순이익 16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치테마주의 경우 출신학교·친인척·지인·지역 등 정치인과의 단순한 연결고리만으로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기업의 실적이나 본질가치와 무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거래소는 "정치뉴스나 여론조사 결과 또는 테마소멸 등에 따라 주가가 일시에 급락할 수 있어, 과열된 분위기에 휩쓸린 투자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며 "따라서 확인되지 않은 풍문이나 막연한 기대감 등으로 주가 및 거래가 급증하는 종목에 대하여서는 추종매매를 자제하고, 기업의 실적, 재무상태 및 시장환경 등 펀더멘탈에 기반한 합리적인 투자결정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21대 대선기간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시장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불공정거래 행위 포착시 금융당국과 공조하여 강력 대처할 예정"이라며 "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행위를 알게 되는 경우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불공정거래신고센터에 적극 신고해 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