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현대차증권이 젊고 전문성 있는 인재 발탁 및 외부 영입을 통해 대규모 인적 쇄신 및 조직개편에 나섰다.
현대차증권은 조직 효율성을 높이고 '밸류업'을 본격 추진할 수 있는 조직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70년대생 본부장·사업부장 발탁 인사, 외부 인재 영입 등 총 7명 중 6명을 교체하는 인적 쇄신을 단행한다고 6일 밝혔다. 본부장과 사업부장이 교체된 곳은 리테일본부, 홀세일본부, IB1본부, IB3본부, 재경사업부, 전력기획사업부 등이다.
현대차증권은 대규모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우선 리테일본부는 퇴직연금 비즈니스 경쟁력 제고와 VIP 자산관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직 혁신을 추진한다. 퇴직연금 경쟁력·시너지를 위해 리테일본부 산하에 연금사업실을 편제하고 흩어져있던 퇴직연금 조직을 연금사업실 산하로 통합했다. DC/IRP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리테일과 연금사업실의 협업과 시너지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향후 지점 영업망을 활용해 DC/IRP 중심의 퇴직연금 성장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70년대생 전략통 리더십 발탁을 통한 리테일 혁신을 추진하는 동시에, PB서비스를 고도화하고 WM솔루션팀을 신설하는 등 VIP고객 자산관리 경쟁력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IB 부문은 IB1, 2, 3본부를 IB본부로 통합하는 등 조직 효율화를 통해 부동산 PF 불황에 대응하고, 자원 활용 최적화로 전통IB와 부동산 PF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또 신사업추진단 신설을 통해 비부동산 딜 발굴 등 수익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하도록 했다.
또한 S&T(Sales&Trading)본부를 신설해 증권업 근간 비즈니스인 운용 및 트레이딩에 집중한다. 자기자본투자(PI)와 파생시장 등 트레이딩 및 운용 등 동종 유형 영업조직을 S&T본부에 집중 배치, 자본활용 효율성 제고에 나설 방침이다. 또한 전문성 및 폭넓은 네트워크를 갖춘 추진력 있는 외부 전문가를 영입, 세일즈 및 신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추가로 차세대 원장시스템 구축 등 디지털 기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영지원사업부를 신설했다. 창사 이래 최대 프로젝트로 1000억원 이상 투입되는 차세대 원장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경영지원사업부 산하에 업무혁신실을 신설하고, BT실, GWP실과 함께 배치했다. 이를 통해 현업과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해서 차세대 원장 시스템에 반영하고, 전사 차원의 역량 결집 및 협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배형근 현대차증권 사장은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에 앞서 수익성 제고,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대대적인 인적 쇄신 및 조직 개편을 실시했다"며 "변화와 혁신을 기반으로 기업 밸류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차증권은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회사는 이달 중 기업가치제고 방안을 통해 늘어난 자본금의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