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네이버는 25일 개막한 국내 최대 개발자 콘퍼런스 '데뷰(DEVIEW)2020'를 통해 제2사옥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모든 로봇들의 '두뇌'가 될 ARC(AI-Robot-Cloud)를 공개했다.
이날 키노트에서 주목받은 ARC는 클라우드 기반의 '멀티 로봇 인텔리전스 시스템'으로, 네이버가 지향하는 '로봇의 대중화'를 이끌기 위한 핵심 시스템이다.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그리고 로봇을 실시간으로 연결해, 실제 공간 속에서 로봇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
네이버는 ARC를 내년 완공을 앞둔 '세계 최초 로봇 친화형 빌딩' 제2사옥에 접목하는 것을 시작으로, 기술 연구를 넘어 실제 로봇 서비스의 대중화 시점을 더욱 앞당겨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ARC의 핵심은 AI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로봇들이 고가의 센서에 의존하지 않아도 실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동시에 '똑똑하게' 해주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에 있다. 말그대로 클라우드에 띄워진 하나의 거대한 '지능'인 셈이다. 이 ARC가 모든 로봇들의 두뇌 역할을 대신하기에 로봇 각각의 제작비를 낮추면서도 최대한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구조다.
모든 로봇과 초저지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ARC는 크게 ARC eye와 ARC brain로 구성된다. ARC eye가 GPS가 통하지 않는 실내에서 현재 위치와 경로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사람의 '눈' 역할을 수행한다면, ARC brain은 모든 로봇의 이동, 측위, 서비스 수행을 일괄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한다.
이를 위해 ARC에는 네이버랩스는 그간 고도화해 온 다양한 기술들이 결집돼 있다. △실내 고정밀 지도를 제작하는 매핑로봇 M1 △GPS가 없는 실내에서 비콘 등 인프라 장비가 없어도 정밀한 위치 인식이 가능한 Visual Localization 기술 △레이저스캐너 없이도 맵클라우드와 강화학습 기반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어라운드 플랫폼 △5G의 초저지연 네트워크 성능을 활용해 클라우드가 로봇의 두뇌가 되게 하는 브레인리스로봇 기술이 대표적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ARC는 세계 최초의 로봇 친화형 빌딩으로 건설 중인 네이버 제2사옥에서 첫 상용화될 예정"이라며 "이를 함께 구현하고자 희망하는 각 분야 기술 인재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다린다"며 키노트를 마무리했다.
25일부터 3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될 13번째 데뷰2020에는 네이버의 현재와 미래를 이끌고 있는 핵심 기술들이 총망라돼 등장할 예정이다. 규모 역시 역대 최대로 모바일, 클라우드, 네이티브, 머신러닝, AI, 검색, 비전,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 SW/HW를 넘나드는 총 81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 한성숙 네이버 대표 "소상공인·창작자에 2년간 1800억 지원"
- 한성숙 네이버 대표 "소상공인·창작자 더 큰 성장 위해 노력"
- 네이버,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전자문서 서비스 전담 계약 체결
- 네이버웹툰, '2020 지상최대공모전' 웹툰 2기 수상작 발표
- 네이버 파파고, 이미지 '바로번역' 기능 선봬
- 네이버, 'PC 검색' 모바일과 동일하게 개편
- 네이버, 3분기 매출 1조3608억 '역대 최대'···'비대면' 수혜
- 네이버-도로공사, 고속도로 휴게소 내 '스마트주문' 도입
- 네이버-현대차 '손잡았다', 모빌리티 기술·서비스 개발 협력
- 네이버, AI 음성기록 서비스 '클로바노트' 출시
- 네이버, 블로거 위한 커머스 도구 선봬
- 네이버, 물류·의료 스타트업 2곳에 투자
- 네이버, 포춘 미래유망기업 33위 선정
- 제페토, 다이아 티비와 Z세대 겨냥 콘텐츠 확대
- 네이버클라우드-건양대, 의료인공지능 인재 양성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