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편의성과 보안성을 모두 갖춘 본인 인증 앱 '패스(PASS)'가 추석 연휴를 대비해 유동인구가 많은 다중 이용시설을 대상으로 QR출입증으로 사용되길 권장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이통 3사는 정부 공공 데이터를 기준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대형 음식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유명 맛집, 다목적 체육시설 등 다중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전자 출입명부 '패스 QR출입증'의 사용을 권장하는 안내문을 부착하고 자사 고객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고 있다.
또한 향후 프로야구 경기의 관중 입장이 재개되는 시점을 고려해 수원KT위즈파크와 인천 SK행복드림구장, 서울 LG 잠실야구장에서 패스 QR출입증을 포함한 전자출입명부 사용을 활성화 하고, 유관중 경기로 전환되는 시점에 해당 구장마다 마스크를 비치하여 관중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기로 했다.
패스 QR출입증은 통신3사의 본인확인 앱 '패스'를 통해 제공되는 전자출입명부로 집단 감염 위험이 높은 시설을 출입할 때 수기로 출입자 명부를 작성하던 것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됐다.
이통 3사는 지난 6월부터 자사 고객 및 알뜰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에서 발급받은 일회용 QR코드를 시설 관리자에게 제시하면 이를 스캔해 방문 기록을 생성하는 패스 QR출입증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패스 QR출입증으로 발급되는 QR코드는 회당 15초만 효력이 유지되며, 매회 생성시 마다 본인 명의의 기기 여부를 확인하여 원천적으로 타인이 불법적으로 취득해 악용할 수 없다. 또한 최종 생성되는 QR코드에는 어떠한 개인정보도 포함하지 않아 고객의 개인정보를 철저하게 보호한다.
이통 3사는 "편의성과 보안성을 모두 갖춘 패스 QR출입증을 통해 코로나19 방역에 앞장서는 한편 5G 및 AI 기반의 다양한 ICT 서비스를 통해서도 고객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지속 협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KT, 태국 IDC 사업 진출한다
- 삼성 '가성비甲' 갤럭시S20 FE 공개···아이폰12에 맞불
- SKT "3.5GHz 경쟁력 강화, 28GHz B2B에 특화"
- 홍정민 의원 "요금연체 통신서비스 이용 중지 50만명 넘어"
- KT "비대면 방역 플랫폼으로 공공시설 안심 이용"
- LGU+, 협력사 2000여곳에 납품대금 조기지급
- SKT, 숏폼 영상 활용 '보이는 컬러링' 서비스 선봬
- KT, 중소벤처기업부와 '자발적 상생협력 기업' 협약
- KT, 'AI 원팀 서밋 2020' 개최···성과·협업 사례 발표
- 코로나19 시대, 'T맵'으로 본 생활상 변화는?
- LGU+-그린랩스, '보급형 스마트팜' 속초 딸기 농가서 첫 선
- KT, 영상통화 앱 '나를' 활용 요양원 온택트 면회 지원
- KT, 결합 가족 위한 '혜택 쿠폰 선물하기' 선봬
- "추석 특수 잡아라"···가전업계, '효도가전' 마케팅 熱戰
- 'U+tv 아이들나라' 월 이용자 수 150만 돌파
- [위투게더] KT, 중소기업 교육 9만명 돌파···'VR안전체험'도 시행
- KT, 통신 역사 담은 온라인 전시관 개관
- LG유플러스, '영화 속 그 음악: 클래식은 왜 그래' 7일 첫방송
- SKT-카카오, '사죠영' 캐릭터 공동 제작···이모티콘 증정
- SKT, 교통약자 전용 모빌리티로 '장애인 취업 문턱' 낮춘다
- LGU+ "'유숍' 통한 가입신청, 연초 대비 40% 이상 성장"
- LG유플러스, '자라섬재즈페스티벌' 독점 생중계
- "5G 못쓰겠다"···LTE로 돌아간 가입자 56만명 넘는다
- LG유플러스-만도, '5G 실외 자율주행 로봇사업' 업무협력
- SKT, '포스트 코로나' 유망 스타트업 5곳 선정·공동 사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