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는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최소 40조원 규모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전대미문의 코로나19 상황으로 산업계의 피해가 전방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국회에서 심사가 시작될 추경안 11조7000억원 규모로는 코로나19 피해 지원에 역부족이라고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박 회장은 "11조7000억원으로 추경이 전액 집행되더라도 국내 총생산(GDP) 부양 효과는 0.2% 수준에 그칠 것"이라면서 "올해 1%대 성장 전망이 많은데 1% 성장을 위해서 약 40조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추경안으로는 상당히 부족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은 특단의 대책으로 코로나19로 어려워진 분위기와 추세를 선제적으로 꺾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정부를 비롯한 모든 분야가 나서 과감히 달려들어야 한다"고 했다.
상의에 따르면, 상의가 코로나19 대책반을 통해 조사한 결과 기업 현장에서는 산업계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들을 복잡한 절차, 까다로운 지원 요건 등 때문에 체감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많았다.
이에 대해 박 회장은 "추경 증액과 함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이 제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자금이 흐르는 파이프라인(통로)이 더 빨리, 넓게 뚫려야 한다"며 "금융기관이 대출을 확대하도록 유인을 하고 정부와 한국은행까지 다 나서서 막힌 파이프라인을 뚫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 대한상의, 회원사에 '출퇴근 시차제' 자율실시 권고
- 靑 "코로나 관련 경제계 16개 건의 사항 전폭 수용"
- 文대통령 만난 이재용 부회장, 코로나19 대응책 '깜짝제안'
- 이재용 "어깨 무겁다···고용·투자는 기업 본분, 직접 챙기겠다"
- [코로나19] 경제계, 文대통령에 '정책감사 폐지·유연근로' 건의
- [전문] 대기업 총수 만난 文 "예정된 설비투자 집행해 달라"
- 산업계 "정부, 수요절벽·유동성 위기 선제 대응 나서야"
- 전자업계 "하반기 수요 폭발···'포스트 코로나' 선제 대응" 한목소리
- 이병철·정주영·구인회 등 1세대 창업주 '성공 신화' 웹툰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