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톡톡] 총선 앞두고 또 등장한 '제로페이'···200만 가맹점 넘길까
[뉴스톡톡] 총선 앞두고 또 등장한 '제로페이'···200만 가맹점 넘길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영업자, "40·50대 고객 여전히 이용 어려워해"
"고객이 신용카드보다 '편리함' 경험해야 정착"
(사진=제로페이 홈페이지)
(사진=제로페이 홈페이지)

[서울파이낸스 윤미혜 기자] 올 4월 총선을 앞두고 여당이 공약 중 하나로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책'인 '제로페이' 활성화를 내걸었습니다. 현재 30만개 수준인 제로페이 가맹점을 2024년까지 200만 개로 확대한다는 계획인데요. 거의 '0%'에 가까운 수수료로 자영업자는 '함박웃음'을 짓지만 정작 소비자들의 반응은 냉담합니다.

이는 제로페이가 신용카드보다 '불편하다'는 것이 지배적인 이유입니다. 신용카드는 고객인 카드만 건네주면 종업원이 알아서 결제해주지만, 제로페이의 경우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결제앱을 실행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생성돼 있는 QR코드나 바코드를 보여주면 이를 가맹점측이 POS기와 연결된 스캐너로 인식해 결제합니다. 입금하고 금액까지 확인하려면 카운터에서 한참을 서있어야 하기 때문에 귀찮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고객 입장에서 보면 상황이 이해됩니다. 제로페이는 할부거래가 되지 않고, 기존 체크카드와 비슷한 계좌이체 방식인데 굳이 별도의 결제 과정을 거쳐 사용할 만큼 혜택이 높은 지에는 물음표가 남습니다. 소득공제율도 마찬가지 입니다. 신용카드 사용금액은 15%,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 사용금액은 30% 소득공제율을 적용받는데, 제로페이는 체크카드·현금영수증과 같은 30% 공제율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가맹점 입장에서는 결제수수료가 제로에 가까워 이득입니다. 연 매출 8억원 이하는 0%, 8억~12억원은 0.3%, 12억원이 넘으면 0.5%의 수수료율이 적용되는데, 대부분의 소상공인들은 연 매출이 8억원이 넘지 않기 때문에 수수료는 사실상 '제로'에 수렴합니다 .

개인 식당을 운영하는 소상공인 커뮤니티에서는 제로페이를 신청하면 가게 시설 환경비를 80% 지원해준다고 제안을 받았다거나, 매장 테이블과 간판교체도 덤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경험담이 심심찮게 올라옵니다. 그야말로 솔깃한 제안입니다. 옆 가게 사장님의 추천을 받았다거나, 오랜 단골인 공무원 고객의 부탁으로 마지못해 설치했다는 수기도 보입니다.

이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로페이 가맹점 수는 계속 두 자릿수에 머물러 있습니다. 2024년까지 200만개 가맹점을 목표로 한다고 하지만 소상공인들은 대체로 부정적인 반응입니다. 대부분의 고객이 귀찮아 또는 불편해 사용을 꺼리는데다, 청년층 외 40·50대 기성 고객은 앱 기반 결제를 어려워한다는 거죠. 결국 아무리 좋은 정책도 사용하는 사람은 반쪽에 그친다는 게 현실이라고 말합니다.

카드업계도 불편한 기색이 역력합니다. 선거철만 되면 매번 유권자들의 표심 공략을 위해 정치권에서 내세우는 '카드수수료 인하'와 같은 선심성 공약으로 인해 카드사들은 낮아질 대로 낮아진 수수료와 실적 악화로 설자리를 잃어간다고 우려합니다.

카드사는 당장 올해부터 상품을 출시할 때 과도한 부가서비스를 담지 못하도록 하는 '카드상품 수익성 분석체계 가이드라인'이 시행돼 고혜택 카드 발행도 사실상 금지됩니다. 제로페이 대항마로 지난해 초 야심차게 출범시켰던 'QR페이'도 흐지부지돼 결국 카드사들은 각개전투로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습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단순히 소상공인을 살리기위해 모든 국민이 '자선'의 마음으로 제로페이를 사용할 수는 없다고 입을 모읍니다. 수수료를 줄이는 데 포커스를 둘 것이 아니라 소비자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도록 편리함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말이죠.

이같이 반복되는 선심성 공약에도 몇 년째 가맹점 수가 꿈쩍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보여주기 식이 아니라 정말로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이라면 무엇이 바뀌어야 할 지 정치권 및 당국과 업계, 소비자, 소상공인 모두 좀더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