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전국적으로 1~2인 가구가 빠르게 늘면서 소형 아파트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중대형 아파트 중심의 분양이 주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에 실수요가 몰리는 분위기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2027년 전국 1~2인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약 67.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62.7%)과 비교해 5%포인트(p) 증가하는 셈이다.
1~2인 가구 급증은 주거 트렌드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넓은 집보다는 관리가 편하고 경제성이 높은 '작고 알찬' 주거 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45만635건이었다. 이 가운데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는 17만6492건으로 전체의 39.2%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소형 아파트 공급 비중이 약 27.4%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하면, 공급을 웃도는 높은 수요가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양 시장에서도 소형 타입 인기가 뚜렷하다. 지난해 12월 서울 강서구 등촌동에서 분양한 '힐스테이트 등촌역'의 전용 59㎡ 타입은 평균 42.93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용 84㎡ 타입(18.37대 1)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로, 실수요자들의 소형 선호가 확고함을 보여준다.
매매 시장 분위기도 비슷하다. 같은 단지 내에서도 소형 아파트 거래가 더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서울 은평구 'DMC 롯데캐슬 더 퍼스트'가 대표적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이 단지의 전용 60㎡ 이하 매매 거래는 28건으로, 중대형 면적(24건)보다 4건 더 많았다. 이 단지의 총 가구 수(989가구, 임대 제외) 중 소형 비율이 약 42%에 불과한 것을 감안하면, 거래 비중이 상당히 높은 셈이다.
전문가들은 소형 아파트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기본 수요에 충실한 상품'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내다본다. 신혼부부, 1인 청년 가구, 은퇴 세대, 고령층 등 다양한 계층에서 소형 아파트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면서 가격 방어력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소형 아파트는 화려하진 않지만 시장이 위축될 때마다 그 가치를 증명하는 상품"이라며 "정부의 공급 확대 정책이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매물 부족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입주권도 토허제 대상···기존 주택처분은 6개월 이내
-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 3.3㎡당 1905만원
- 서울 집값 상승폭 확대···전국도 상승 전환
- 서울 집값 10주 연속 상승···토허구역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 목동 재건축 '마지막 퍼즐' 1~3단지, 최고 49층 1만238세대
- 연 2% 청년주택드림대출 출시···서울 신축 아파트는 여전히 '그림의 떡'
- [초점] '내 집 마련' 문턱 높은 서울···실수요자들 '경기·인천으로'
- 사라진 봄성수기···건설업계, 혼란 정국 속 분양 '눈치보기'
- 5월 수도권 1만1697가구 분양···서울 4곳
- 강남·서초 자연녹지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