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소공동에 위치한 한국은행 본관.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 중구 소공동에 위치한 한국은행 본관.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조치에 대해 시장 예상보다 강하고 광범위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향후 보복관세 등 주요국의 대응이나 전개상황에 따라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가 3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이 같이 진단했다.

이날 회의는 미국 상호관세 발표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밤 미국 정부는 오는 5일 모든 교역국가에 10%의 기본 관세가 발효될 것이며, 9일부터는 무역흑자 규모가 큰 개별국가에 더 높은 수준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현재 공개된 상호관세율은 △중국(34%) △EU(20%) △베트남(46%) △대만(32%) △일본(24%) △인도(26%) △태국(36%) △스위스(31%) 등이다. 우리나라 역시 25%라는 높은 세율이 적용된다.

해당 발표 직후 미 국채금리와 주가가 큰 폭 하락하고 주요국 통화가치가 급변하는 등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에 유 부총재는 "국외사무소 등과 연계한 24시간 점검체제를 통해 관련 리스크 요인의 전개양상과 국내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 필요시 적기에 대응할 것"이라며 "아울러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글로벌 교역여건 변화, 주요국 성장·물가 및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해서도 계속 점검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