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 동결에 달러가 초강세를 보이며 국내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나친 쏠림 현상은 큰 반작용을 수반한다며, 시장 참가자들의 차분한 대응을 당부했다.
19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통해 "한 방향으로의 지나친 쏠림 현상은 향후 반대 방향으로 큰 폭의 반작용을 수반할 수 있다. 시장 참가자들의 차분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전일(현지시간) 미 연준은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정책금리를 25bp(1bp=0.01%p) 인하했다. 이는 시장 예상과도 부합한다.
다만 향후 금리전망을 담은 점도표를 통해 내년 금리인하 전망을 기존 100bp에서 50bp 인하로 축소했다. 향후 미국의 성장·고용이 개선되고 물가 상승세 둔화 속도가 더뎌질 것이란 관측에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은 기자회견을 통해 "추가 인하에 대해 신중할 수 있다"고 언급하는 등 통화정책 완화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은 금리 인하에도 이번 회의 결과를 긴축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직후 미국 국채금리와 달러 가치가 큰 폭 상승했으며, 유로나 엔화를 비롯한 주요국 통화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인 형국이다.
이에 최 부총리는 "정부와 한은은 높은 경계의식을 가지고 24시간 금융·외환시장 점검 체계를 지속 가동할 것"이라며 "변동성이 과도하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시장안정조치를 과감하고 신속하게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외환시장 안정과 외화유동성 확보 등을 위한 방안도 언급됐다. 최 부총리는 △외환수급 개선방안 △연장 시간대 외환거래 활성화 방안 △세계국채지수(WGBI) 관련 거래 인프라 개선방안 등을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에 담아 추진하겠다고도 밝혔다.
여기에 스트레스 완충자본 적립규제 도입 유예 등 금융회사의 재무 여력 강화 방안과 은행권과의 상생을 통한 소상공인 금융부담 완화 방안, 서민금융 지원 방안 등 금융시장 안정과 밸류업, 공매도 재개 등 자본시장 선진화, 그리고 취약계층 지원에도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 뉴욕증시, 금리인하 속도조절에 3%대 폭락···다우 50년 만에 최장 약세
- 美 기준금리 0.25%p 인하···"내년 4회→2회 축소 전망" (종합)
- 1440원 눈앞, '고환율 랠리'에 국내증시 탈출하는 외국인
- 매파적 FOMC에 천장 뚫린 환율···금융위기 이후 첫 1450원 돌파
- 한은 "매파적 FOMC···美 연준 통화완화 지연될 것"
- [초점] 연준發 충격에 심리적 저항선 무너진 환율···1500원대 가능성은
- 美FOMC 쇼크에 금융시장 '휘청'···코스피 1.95%↓·환율 1450원 돌파
- [초점] 천정 뚫린 환율에···경기부양과 환율방어 놓고 고심 커진 한은
- 최상목 권한대행 "국민 일상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가 최선 다해야"
- 거래소, 공매도 중앙정검시스템 개발 완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