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올해 2.2%에서 내년 2%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완만한 내수 회복세 속 건설투자의 부진이 뚜렷한 데다, 그간 성장세를 견인한 수출마저 둔화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11일 한금융연구원은 '2025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를 통해 "내년 우리 경제는 내수가 일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건설투자가 계속 부진하고 수출이 둔화됨에 따라 2% 성장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지정학적 위험과 미국 경제정책 방향 등을 둘러싼 대외 불확실성, 내수 회복 지연 가능성 등 하방위험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연구원은 민간소비 성장률이 올해 1.3%에서 내년 2%로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 인하와 물가 상승률의 점진적인 하락 등으로 소비 여건이 개선되겠지만, 회복 속도는 다소 완만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설비투자 성장률은 생산원가 안정, 자금조달 비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올해 1.1%에서 내년 3.8%로 개선될 전망이다.
반면 건설투자는 올해 -2.3%에서 내년에도 -2.7%로 역성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과거 선행지표 악화에 따라 건설 규모 자체가 줄어들면서 역성장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특히 총수출 성장률은 올해 7.2%에서 내년 2.3%로 급격히 둔화되겠지만, 같은 기간 총수입은 2.3%에서 3.4%로 확대되면서 경상수지 축소가 불가피해 보인다. 실제 연구원은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올해 793억달러에서 내년 680억달러로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4%에서 내년 2.0%로 둔화될 전망이다. 연구원은 "내년 내수 회복세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요 압력이 높지 않을 것"이라며 "올해 초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던 농산물 가격 등 공급 요인 영향도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연구원은 "지정학적 위험 지속, 트럼프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과 달러화 강세 가능성 등으로 물가상승률 전망의 상방 위험이 하방 위험보다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도 덧붙였다.
끝으로 연구원은 "차기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미국 우선주의 정책추진 가능성 등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미국의 기후대응 정책이나 러-우, 중동지역 분쟁에 대한 대응방식 등에서 변화가 있을 경우 원자재가격이나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