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부산) 강혜진 기자] 기술보증기금(기보)이 중소벤처기업의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2022년 5월 도입된 탄소가치평가보증의 누적 신규공급액이 1조5000억원을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탄소가치평가보증은 기후대응기금을 재원으로 하는 보증기관 최초의 보증상품으로 '탄소가치평가모델'을 적용해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화폐가치로 환산하고 이를 보증지원 금액에 추가 반영함으로써 관련 기업들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한다.
지원대상은 기업 내외부에서 온실가스 감축 성과가 있거나 예상되는 기업으로 보증 이용기업은 탄소가치평가 유형에 따라 △보증비율 상향(최대 95%) △보증료 감면(최대 0.4%p↓) 등의 우대사항을 적용받을 수 있고 협약된 은행 이용 시 보증료 추가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있다.
한편 기보는 정부가 지정한 '그린 중소벤처기업 금융지원 전문기관'으로 지난 2022년 5월 탄소가치평가보증 시행 이후 연간 5000억원 이상의 보증을 공급해 왔다.
올해는 전년 대비 20% 증가한 6000억원을 목표로 설정해 적극 지원함으로써 누적 공급액 1조5000억원을 초과하는 등 중소벤처기업의 탄소중립 전환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기보는 기업의 녹색경제활동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를 구축해 녹색금융을 강화하고 있다.
K-택소노미 적합성 평가 시스템(KTAS)을 개발해 지난 2월부터 녹색경제활동 영위기업 우대자금 지원시 은행에 관련 보고서를 보증서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