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 개인사업자대출 급증 상호금융조합 경영진 면담을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사진=서울파이낸스 DB)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정지수 기자] 금융감독원이 최근 건전성이 악화된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를 실시한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연체율, 순고정이하자산비율 등 자산건전성 지표가 악화된 저축은행의 관리 실태 점검을 위해 이달 말 경영실태평가를 진행한다. 

금감원이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에 나선 것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 등 부실자산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업계의 올해 1분기 연체율은 8.80%로,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은 부동산 PF 부실 여파로 11%까지 치솟았다.

금감원은 전국 79개 저축은행 중 부실 상황이 심각하다고 판단한 저축은행을 지정해 검사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상호저축은행 감독규정에 따르면 금감원은 저축은행 본점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이후 종합평가에서 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경영관리능력 등을 1등급(우수)∼5등급(위험) 등 5개 등급으로 구분한다.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저축은행은 향후 건전성 개선 방안을 금융 당국에 제출하고 이행 점검을 받아야 한다. 

다만 금감원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과 유동성비율 등을 고려하면 최근 저축은행의 자산건전성 지표 악화는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자산건전성 악화에 대응해 경·공매활성화, 중앙회의 PF부실채권 정리 및 정상화 지원펀드 등을 통해 연체채권 매각·상각, 경·공매, 대출 재구조화 등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어 건전성 지표도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