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LG이노텍)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LG이노텍이 언제 어디서든 끊김 없는 초고속 통신이 가능한 차량용 통신모듈을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

28일 LG이노텍은 5G 광대역(NR-NTN·약 30MHz 폭) 위성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3세대 5G 통신모듈' 개발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차량용 5G 통신모듈은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어 기지국, 위성 등 네트워크 인프라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핵심 부품이다.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및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필수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간 시장에 출시된 차량용 5G 통신모듈은 협대역(NB-NTN·약 0.2MHz 폭) 기반 모듈로, 수백 kbps 수준의 저속 데이터 전송만 가능했다. 하지만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는 한계가 있어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 적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번에 LG이노텍이 개발한 '3세대 5G 통신모듈'은 광대역 위성통신(NR-NTN)을 지원한다. 지상 기지국과 연결이 끊긴 상황에서도 인공위성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광대역망을 활용해 초고속·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특히, 기존 제품 대비 데이터 전송 속도가 수백 배 빠른 수십 Mbps 수준이며, 지연 시간도 수초에서 수백 밀리초(ms) 수준으로 감소해 음성, 이미지, 영상 등 고용량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든 끊김 없이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성능 향상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위성통신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자율주행 알고리즘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어 차량 주행의 정밀도와 안정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 표준을 준수한 것도 강점이다. LG이노텍의 '3세대 5G 통신모듈'은 국제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 의 최신 5G 표준인 '릴리즈 17(Release 17)'을 채택했다. 이는 기존 지상망 중심의 5G 기술을 위성 등 비지상망(NTN) 까지 확장한 첫 국제 표준이다.

덕분에 다양한 국가 및 차량 모델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점도 경쟁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LG이노텍은 내년 1분기 내 양산에 돌입하고, 글로벌 차량 통신 모듈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북미, 일본 지역의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한 프로모션도 활발히 전개 중이다.

업계에 따르면, 5G 통신모듈을 탑재한 차량 수는 2024년 400만대에서 2032년 7500만대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연평균 성장률(CAGR)은 4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