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삼성전자가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6조6000억원(잠정)을 기록하며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돌았다. 'AI(인공지능) 스마트폰'을 앞세운 갤럭시 S25 시리즈의 흥행이 실적을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8일 1분기 잠정실적 기준 연결 매출이 79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84%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0.15% 줄었지만, 증권가 평균 전망치(5조1428억원)를 1조원 이상 상회했다.
어닝서프라이즈의 주역은 올 1월 출시된 갤럭시 S25로 분석됐다. 갤럭시 S25는 "진정한 AI 스마트폰"이라는 마케팅을 앞세워, 국내 사전 판매(1월 24일~2월 3일)에서 역대 최다인 130만대를 기록했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갤럭시 S25는 1분기 약 1350만대가 출하된 것으로 보인다"며 "MX(모바일경험) 부문이 4.4조 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증권가에선 이번 실적 호조의 주된 원인으로 △DRAM 출하 호조 △갤럭시 S25 시리즈의 판매 강세 △효율적인 원가 관리 등을 꼽는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당초 5조원을 밑돌 것이란 우려와 달리, 플래그십 스마트폰 효과로 MX 부문이 견조한 수익성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분기부터는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제품 출시 효과가 점차 사그라드는 데다, 미국의 대중(對中) 관세 정책이 갤럭시 판매에 먹구름을 드리울 수 있어서다.
김선우 연구원은 "고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초기 수요가 집중된 데다, 미국 내 선출고 요구도 있었을 것"이라며 "2분기 갤럭시 S25 출하량은 800만대 이하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선언한 상호관세 부과도 부담이다. 채민숙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은 미국 점유율 유지를 위해 가격 인상을 쉽사리 단행할 수 없기 때문에, 관세 부담을 자체 흡수해야 할 것"이라며 "이 경우 스마트폰 부문 이익 감소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삼성은 조만간 갤럭시 S25의 후속 모델인 '엣지' 버전을 공개할 예정이다. 증권가는 이 제품의 흥행 여부가 2분기 실적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