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사진=서울파이낸스 DB)
금융감독원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금융감독원이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등 핀테크사 CEO들과 만나 정보 유출, 시스템 장애 등 소비자 권익을 침해하는 위법·부당행위에 대해 엄중 대처하겠다는 계획을 전했다.

금감원은 이종오 디지털·IT 부원장보가 12일 오전 네이버파이낸셜 본사에서 전자금융업자 CEO 간담회를 열고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금감원 내 전자금융업 감독·검사 전담부서 신설 이후 열린 전자금융업권 CEO들과의 첫 회동으로 주요 감독방향과 현안을 설명하고 협조사항을 당부하는 한편, 업계 발전을 위한 의견을 청취하고자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나이스페이먼츠, 네이버파이낸셜, 비바리퍼블리카, 뱅크샐러드, NHN KCP, 카카오페이, 쿠팡페이, 토스페이먼츠, 트래블월렛, 페이업 등 10개 전자금융업체 CEO와 핀테크산업협회장이 참석했다.

이종오 부원장보는 이 자리에서 선불충전금 및 정산금 관리, 금융상품 추천 알고리즘 등 주요 현안에 대한 경영진의 관심과 주의를 당부했다.

이 부원장보는 "선불업자의 선불충전금 및 PG사의 정산자금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며 "지난해 9월 개정 전금법 시행으로 충전금 별도관리 및 대표가맹점 의무사항 등이 신설됐으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이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티메프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PG사의 판매자 정산자금 별도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중이므로 업계가 차질 없이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부원장보는 또 "소비자 선택권을 왜곡·침해하지 않는 알고리즘을 구현·운영해달라"며 "알고리즘이 플랫폼 또는 금융회사의 이익이 아니라 소비자의 이익을 최우선시 할 수 있도록 지속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IT 안전성 확보 등 신규 IT리스크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달라"며 "전자금융 서비스는 다수 이용자의 일상과 깊이 관련되면서 돈과 정보가 함께 이동하는 거래인 만큼, 전산금융사고로 대규모 불편 및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예방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신기술 활용 등으로 발생하는 신규 IT리스크에 대비한 보안통제 강화, 비상시 업무지속성 확보방안 수립 등 IT안전성 강화에 힘써달라"고 덧붙였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체 CEO들은 "전금업자 다수가 영세하고 업무형태도 다양하므로 일률적 규제체계 적용보다는 합리적인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또 재해복구센터 구축이나 자금세탁방지(AML) 의무 이행 등에서 고충이 크다며 업권 특성에 대해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