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3사 (사진=각 사)
인터넷전문은행 3사 (사진=각 사)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가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모두 30%를 넘겨 목표치 달성에 성공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중·저신용자대출 비중을 32.2%, 케이뱅크 34.1%, 토스뱅크는 34.7%를 각각 달성했다.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대출 평균잔액과 비중은 각각 약 4조9000억원, 32.2%로 집계됐다. 공급 목표치인 4조8193억원, 평잔 30% 이상을 상회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중·저신용대출 공급 목표치 달성에 성공했다.

지난해에 공급한 중·저신용대출 규모는 2조5000억원이었으며 출범 이후 누적 규모로는 13조원을 넘어섰다. 

카카오뱅크 측은 지속적인 중·저신용대출 공급은 데이터 기반의 신용평가 모형 고도화와 리스크 관리 역량에서 비롯됐다고 전했다.

대안신용평가모형 '카카오뱅크 스코어'를 활용, 금융 정보 위주의 모형으로는 대출이 거절된 중·저신용 고객을 도서구입 정보, 자동이체 정보 등 대안정보로 이뤄진 평가모형으로 추가 선별해 대출을 공급하고 있다.

개인사업자 대출에서도 비금융 데이터를 심사에 활용한다. 음식업, 서비스 및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온라인 셀러 등 업종에도 '업종별 특화 모형'을 활용해 대출을 실행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11월부터 중·저신용 고객을 위한 신용대출 상품 금리를 평균 0.3%p(포인트) 인하하는 특별 대출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도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의 지속적인 공급과 자산건전성 관리를 위해 신용평가 모형을 고도화하고 대안정보 활용 확대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도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34.1%로 목표치(30%)를 웃돌았고,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케이뱅크가 지난해 신규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1조1658억원이다. 누적 공급 규모는 7조1658억원이다.

케이뱅크는 중저신용자를 포함한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 금융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서울과 부산, 대구 지역신용보증재단과 손잡고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자금대출 상품 '사장님 보증서 대출'을 출시했다. 

중·저신용자 대출의 안정적 공급과 건전성 관리를 위해 다양한 대안정보를 활용한 심사 전략과 CSS(신용평가 모형) 고도화 노력도 하고 있다. 신규 대안평가 모형인 네이버페이스코어를 도입했고 삼성카드·신한카드가 보유한 개인사업자 대안신용정보를 대출심사전략에 활용하고 있다.

토스뱅크의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34.7%로 나타나 목표치인 30%를 초과 달성했다. 중·저신용자 대출 평균잔액은 4조800억원, 지난해 새로 공급한 대출 규모는 1조3600억원이었다. 누적 규모는 8조7000억원이다.

특화된 CSS와 심사 전략을 토대로 제1금융권에서 소외됐던 중·저신용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했다는 설명이다. 이를 기반으로 KCB 기준 최저 10등급까지 대출을 공급할 수 있었다.

신용 회복 의지가 있는 저소득·저신용 고객에게 지난해 말까지 약 7300억원의 자금을 공급하기도 했다. 토스뱅크는 인터넷전문은행 중 유일하게 햇살론뱅크를 제공하고 있다.

대출 만기를 최장 10년까지 늘릴 수 있는 '매달 내는 돈 낮추기'와 원리금균등상환 대출을 만기일시상환으로 전환할 수 있는 '매달 이자만 갚기'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중·저신용자 고객의 상환 부담을 낮춰 일시적인 자금경색이 연쇄 연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막아주는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토스뱅크는 신용평가모형 및 심사전략 고도화를 위해 비금융데이터·대안정보 확보와 분석 역량을 지속 개선할 방침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