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경제인협회)
(사진=한국경제인협회)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국내 경기 침체로 국민 절반 이상이 내년 소비 지출을 줄일 계획이라는 조사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2025년 국민 소비지출계획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중 53%는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 대비 축소할 계획으로 응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11월 13일부터 2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 패널조사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9%p다. 

조사에 따르면 내년 가계 소비지출은 올해에 비해 평균적으로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소득 1~3분위(하위 60%)는 내년 소비가 올해에 비해 감소하는 반면, 4~5분위(상위 40%)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득별 소비 양극화가 예상된다. 한경협은 소득이 낮을수록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영향에 민감하기 때문에 소득수준에 반비례해 소비지출 감소폭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풀이했다.

내년 소비 지출을 축소하려는 이유로 고물가 지속(44.0%)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다음으로 소득감소‧실직 우려(15.5%),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증가(8.5%)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 감소가 예상되는 품목으로는 여행·외식·숙박(17.6%)이 가장 많았고 여가·문화생활(15.2%), 의류‧신발(14.9%) 순으로 나타나 야외 활동과 관련된 분야를 중심으로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음식료품(23.1%), 주거비(18.0%), 생필품(11.5%) 등 경기 상황과 무관하게 고정적인 지출이 발생하는 필수 소비재주 품목을 중심으로 소비지출 증가가 예상됐다.

한경협은 내년 성장률 전망이 하향조정되는 등 경기가 침체될 것으로 우려됨에 따라 국민들은 생활에 꼭 필요한 지출 이외에는 좀처럼 지갑을 열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국민들은 내년 소비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고환율·고물가 지속(43.2%),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증가(16.4%), 부동산 등 자산시장 위축(12.7%) 등을 지적했다.

또 응답자 중 75.7%는 소비가 다시 활성화되는 시점을 2026년 이후가 될 것이라 응답했다. 소비 활성화 시점으로 '기약없음' 35.1%, '2026년' 24.6%(상반기 14.8%, 하반기 9.8%), '2027년 이후' 16.0% 등 최소 2026년 이후를 예상하는 응답이 75.6%를 차지했다. '이미 활성화'(2.5%) 혹은 '2025년'(상반기 5.8%, 하반기 16.0%)이라는 응답은 24.3%에 불과했다.

국민 10명 중 4명은 가계 형편이 어려워질 것으로 응답해 내년 소비심리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가계 형편이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42.2%였으며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12.2%로 악화 응답의 3분의 1에도 못 미쳤다.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45.6%였다.

소비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물가·환율 안정(42.1%),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완화(20.1%), 금리 조절(11.3%) 등을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