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 인수팀이 전기차 보급 및 충전소 확충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전기차 시장 입지 강화에 힘써 왔던 현대차는 급변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 인수팀은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시행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최대 7500만 달러 규모의 전기차 보조금을 없앨 예정이다. IRA는 현대차 등 완성차 제조사의 전기차 제품군 확대에 영향을 줬으나, 트럼프 당선인은 전기차 보급이 환경에 도움을 준다는 것은 순전한 사기라며 유세 기간 내내 해당 법 폐지를 공언해 왔다.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IRA 폐지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정부효율부장관이자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주도로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최근 한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IRA은 세금낭비"라며 "국민의 돈은 올바른 곳에 쓰여야 한다는 트럼프 당선인의 판단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머스크는 지난 7월에도 전기차 보조금을 없애야 한다며 "당장은 테슬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그것이 옳은 길"이라고 주장했다.

증권가는 머스크의 발언 이면에 현지 전기차 시장을 완전히 장악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분석한다. 한 연구원은 "업계를 선도하는 제조사라는 이점을 활용, 출혈경쟁을 유도해 후발주자의 성장을 막기 위한 포석"이라며 "IRA가 폐지된다면 미국 전기차 시장 입지 강화를 위해 제품군을 늘리고 신공장을 짓는 등 역량을 기울여 온 현대차는 전략을 대폭 수정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달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응하고자 현대차 경영진을 미국인들로 채우는 전례 없는 인사를 단행했다. 최고운영책임자(COO)·북미권역본부장을 담당하며 현대차미국법인 실적을 큰 폭으로 개선한 호세 무뇨스 사장을 최고경영자(CEO)로, 부시 행정부부터 오바마·트럼프·바이든 정부에 이르기까지 외교 분야에서 여러 핵심 요직을 맡아 온 성 김 고문을 사장으로 임명한 것이다. 미국통들은 앞세워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판매량과 수익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인사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도 "미래 불확실성 증가에 대비해 향후 경영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브랜드로서 현대차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인사"라며 "특히 현대차 사상 첫 외국인 CEO에 이름을 올린 무뇨스 사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내에서 사업 체질 개선과 미래 경쟁력 강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무뇨스 사장의 '유연성'을 통해 이를 구체화한다는 구상이다. 그는 지난달 2024 로스앤젤레스(LA) 오토쇼 현장에서 국내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유연성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라며 "IRA 폐지로 전기차 수요가 줄면 하이브리드차나 내연기관차 생산을 늘려 변화한 시장 환경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애초 전기차 생산공장인 현대차그룹메가플랜트아메리카(HMGMA)에 하이브리드차 생산설비를 추가하는 등 능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