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용일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에서 글로벌IB의 공매도 위반 행위 관련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박조아 기자)
함용일 금융감독원 부원장.(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함용일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12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본원에서 12개 기관전용사모펀드(PEF) 운용사 CEO 등과 간담회를 갖고 "사모펀드 등 금융자본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금산분리에 대해 정책적 화두를 가지고 함께 고민하고 의견을 나누려고 한다"고 말했다.

2004년 PEF 제도가 도입된 이후 PEF수는 2개에서 지난해 1126개로 증가했다. 출자약정액도 4000억원에서 136조4000억원으로 성장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H&Q, 한앤컴퍼니, MBK파트너스, 스틱인베스트먼트, IMM PE, SKS PE, VIG파트너스, UCK파트너스, 스카이레이크, 스톤브릿지캐피탈, JKL파트너스, KCGI 등 12개사가 참석했다.

함 부원장은 "국내 PEF산업은 비약적인 성장을 해왔다"며 "특히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에서는 기업구조조정, 모험자본 공급 등을 위한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 했고, 기관투자자에게는 메자닌 투자, 사모대출 등 다양한 운용전략으로 중요한 대체투자 수단을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교적 단기 수익 창출이 목표인 PEF가 자칫 기업의 장기 성장 동력을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하고 PEF가 감독 사각지대에서 대규모 타인자금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며 "최근 일부 PEF의 경영권 분쟁 참여, 소액주주와의 이해 상충 등 운용 행위 역시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을 끌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함 부원장은 기존의 금산분리 논의와 다른 '사모펀드 등 금융자본의 산업 지배'라는 관점에서 PEF의 바람직한 역할과 책임에 대해 논의의 물꼬를 트는 것이 의미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최근 제기되는 다양한 의견에도 PEF는 자율과 창의에 기반해 시장 원리에 따라 운용돼야 한다는 대전제에는 변함이 없다"며 "금융자본의 산업 지배라는 화두는 장기적 관점에서 PEF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당국과 함께 생산적인 토론을 이어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