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롯데케미칼은 재생 플라스틱 소재(PCR PP, Post-Consumer Recycled Polypropylene)가 일본 고객사인 코세 코스메포트(KOSÉ COSMEPORT)의 제품 소재로 적용돼 8월 초부터 출시된다고 6일 밝혔다.
PCR 50% 적용 PP 소재는 지난 2019년 하반기 출시 이후 2020년 화장품·식품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증을 취득했으며, 약 3년만인 2022년 상반기 약 40배 판매 성장률을 기록했다.
PCR-PP는 플라스틱 리사이클 원료를 30%, 50% 함유한 등급으로 개발돼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공급된다.
국내외 글로벌 화장품 업계에서는 2025년까지 화장품 포장재를 최대 100%까지 재활용하거나 플라스틱 리사이클 원료로 만든 제품을 50%까지 확대한다는 정책을 추진중이다.
국내의 경우 화장품 용기 중 약 60%가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하고 있고, 이 중 30% 정도가 PP 소재로 이뤄져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플라스틱 사용 규제와 고객사들의 지속가능한 소재 수요 증가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재생 플라스틱 소재(PCR-PP, rPET, rPP, rABS, rPC등)의 신속한 공급을 확대해 플라스틱 순환경제 문화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 힌다는 방침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롯데케미칼, 전기차 배터리 전해액 핵심소재 4종 생산 확대
- 롯데케미칼, 기체분리막 기술 블루수소 생산현장 적용
- SK가스·롯데케미칼·에어리퀴드, 수소 합작법인···첫 사업 '수소발전'
- 롯데케미칼 "2030년 스페셜티·그린 사업 비중 60%로 확대"
- 롯데케미칼, 1분기 영업이익 826억···전년비 86.8%↓
- 롯데케미칼, 미국 전기차 배터리 스타트업과 JV 설립
- 롯데케미칼, 소재-디자인 융합···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 롯데케미칼-유한킴벌리, 자원순환경제 구축 '그린 액션 얼라이언스' 체결
- 롯데케미칼, 미국서 양극박 생산기지 짓는다
- 롯데케미칼, CCU 활용 고순도 질소 생산 기술 개발
- 롯데그룹·남부발전, 청정 수소·암모니아 생산·활용 사업 공동개발
- 롯데케미칼, 탄소중립 원천기술 확보 'LINK 프로젝트' 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