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은행권이 윤재옥 국회 정무위원장을 만나 유통·통신·배달 등 생활서비스에 진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요청했다.
은행연합회는 지난 25일 국회와 은행권의 소통을 강화하고 경제·금융현안을 공유하기 위해 국회 정무위원장 초청 은행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간담회에서 윤 정무위원장과 참석자들은 은행권 현황을 공유하고 경제·금융현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근 국민은행장, 진옥동 신한은행장 등 주요 시중 은행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먼저 은행권은 디지털 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해 은행도 유통·통신·배달 등 다양한 생활서비스에 진출할 수 있도록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은행이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로 변화할 수 있는 환경 조성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금융지원 현황도 공유했다. 은행권은 코로나19 위기 초기부터 네 차례에 걸쳐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연장한 바 있다. 또 은행권은 최근 3년간 당기순이익의 10%에 육박하는 3조200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사업을 진행했다.
윤 위원장은 "코로나 확산과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로 은행권의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겠지만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는 등 여유가 있는 만큼 은행권이 서민들과 중소상공인을 생각해 새 정부의 금융지원방안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며 "가산금리도 적정한지 살펴봐 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은행들이 글로벌 금융회사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도록 은행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입법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며 "은행도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빅테크 기업과의 규제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은행산업이 신성장 산업으로 도약해 국민경제에 기여하고 고급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각계각층과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 은행연합회 "은행전화번호 진위확인 서비스···보이스피싱 예방"
- 은행권, 인수위에 '가상자산·투자일임업' 진출 허용 요청
- 은행 예·대금리차 공개되나···인수위 검토 등 속도낸다
- 우체국서 4대은행 업무 본다···점포 축소 '대안'
- 우리은행, 우리WON뱅킹 'DIY포트폴리오' 서비스 신설
- 손실보상 '배드뱅크·대환대출' 유력···은행 '팔 비틀기' 우려
- '600억대 횡령' 우리은행 직원 자수-체포···금감원, 검사 착수
- 가계대출금리 年 4% 육박···7년10개월 만에 최고
- 윤호영 카뱅 대표 "주담대·전월세 대출 비중 확대···거래소 제휴 검토"
- 케이뱅크, 예·적금 금리 최대 0.4%p 인상
- [인사] 금융결제원
